신용카드 이용자와 차별 적용
일부 은행들이 대출상품을 취급할 때 체크카드보다 신용카드 이용자에게 우대금리 혜택을 더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가계부채 문제를 줄이겠다며 체크카드 활성화에 나섰던 금융당국의 정책 방향과 어긋난다는 지적이 나온다.
10일 신학용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시중은행 우대금리 현황’ 자료를 보면, 한국씨티은행은 자사 신용카드 이용자에게 0.1~0.3%포인트(신용대출)의 우대금리를 적용한 반면에 체크카드 이용자에겐 0.05%포인트(전세자금대출)의 혜택만 줬다.
외환은행은 신용카드 결제계좌를 보유한 고객에게만 0.1%포인트(이하 주택담보대출·신용대출 기준) 우대금리를 적용했고 체크카드 이용자에게는 혜택이 아예 없었다. 케이비(KB)국민은행은 신용카드 고객에게는 이용실적에 따라 최대 0.3%포인트, 체크카드 고객에게는 최근 석 달간 이용실적이 50만원 이상일 경우에만 0.1%포인트의 우대금리를 적용했다. 신한은행의 경우, 체크카드에 0.1%포인트 우대금리를 적용했으나 신용카드에는 0.2%포인트 혜택을 줬다.
또 우리은행은 부동산담보대출을 해줄 때 체크카드 이용자에게 0.1%포인트를, 신용카드는 0.2%포인트 우대금리를 적용했다. 하나은행은 유일하게 신용카드와 체크카드 고객의 차별을 두지 않고 모두 0.1%포인트(가계대출) 우대금리를 적용하고 있다. 에스시(SC)은행은 신용·체크카드 고객에 대한 우대금리가 없다. 신 의원은 “신용카드의 경우 연회비, 카드론, 연체이자 등 부가수익을 낼 수 있기 때문에 은행들이 체크카드 이용자를 차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김정필 기자 fermat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