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경제일반

LTV 60% 넘는 주택담보대출 지난해 27조↑

등록 2015-07-23 20:08

전체 증가분의 85%에 이르러
집값 하락땐 은행 손실위험 커
지난해 주택담보인정비율(LTV·주택가격에서 주택담보대출금액이 차지하는 비율) 60%를 초과하는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금 잔액이 전년보다 27조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총 주택담보대출 증가분인 31조5000억원의 85%에 이르는 규모로, 그만큼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은행의 손실 위험이 큰 조건에서 주택담보대출이 이뤄졌다는 뜻이다.

주택담보인정비율이란 주택가격에 견주어 주택담보대출금이 어느 정도 차지하는지를 나타낸 비율이다. 아파트 감정가가 3억원이고 주택담보인정비율이 70%라면 대출가능 금액은 2억1000만원으로 한정된다. 정부는 원래 50~70%로 적용하던 주택담보인정비율을 지난해 8월1일부터 70%로 일괄 상향 조정해 대출한도 조건을 완화했다.

그런데 주택담보인정비율이 높으면 주택가격이 하락할 경우 은행의 손실 위험이 커져 건전성을 담보하기 어렵다. 예컨대, 주택가격 1억원, 주택담보인정비율 50%인 경우 주택가격이 7000만원으로 떨어져도 대출금 5000만원보다는 높기 때문에 돈 빌린 사람이 이자 연체 등 부도를 내더라도 은행의 손실 위험이 없다. 하지만 주택담보인정비율이 80%라면 대출금 8000만원에 견줘 주택가격이 낮으므로 은행은 손실 위험이 생긴다.

23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박원석(정의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지난해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2013년 316조3000억원보다 31조5000억원 늘어난 347조8000억원이다. 이 가운데 주택담보인정비율 60%를 초과한 대출 잔액은 87조9000억원(전체의 25.3%)으로 2013년(60조9000억원)보다 27조원 증가했다.

지난해 증가한 주택담보대출 잔액 31조5000억원 가운데 27조원(85%)이 주택담보인정비율 60%를 초과한 형태로 이뤄진 것이다. 이는 2013년 주택담보인정비율 60%를 초과한 주택담보대출 잔액이 2012년보다 6조원 증가한 것에 견주면 4.5배 늘어난 수치다.

박 의원실은 이날 낸 보도자료에서 “경기 침체 등으로 생활 여건이 악화한 가계가 신규 대출이나 기존 대출에 더해 (주택담보인정비율이) 늘어난 한도 끝까지 위험대출을 늘렸다. 정부의 무분별한 규제 완화와 늦은 대책 마련으로 이제는 주택담보인정비율 강화 등 대출 억제 정책을 아예 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고 지적했다.

김정필 기자 fermat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설마 했는데 진짜”…관세 송곳니 트럼프에 한국 정부·기업 비상 1.

“설마 했는데 진짜”…관세 송곳니 트럼프에 한국 정부·기업 비상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2.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딥시크가 보여준 ‘희망’, 네·카 목표주가 잇따라 올라 3.

딥시크가 보여준 ‘희망’, 네·카 목표주가 잇따라 올라

‘이거 르노 차 맞아?’ 그랑콜레오스, 판매량 역주행 이유 있네 4.

‘이거 르노 차 맞아?’ 그랑콜레오스, 판매량 역주행 이유 있네

2900원 짜장면, 900원 삼각김밥…내수 불황에 편의점·마트 초저가 경쟁 5.

2900원 짜장면, 900원 삼각김밥…내수 불황에 편의점·마트 초저가 경쟁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