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격호 롯데그룹 총괄회장(맨 왼쪽)이 지난 16일 오후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 34층 집무실에서 취재진의 질문을 듣고 있다. 왼쪽부터 신 총괄회장, 신동주 에스디제이 코퍼레이션 대표, 민유성 에스디제이 코퍼레이션 고문, 신선호 일본 산사스 회장. 연합뉴스
롯데그룹 경영권을 둘러싸고 연일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 신격호 총괄회장의 두 아들이 이번엔 형 신동주 전 롯데홀딩스 부회장의 투자 실패를 놓고 공방을 벌였다. 형제가 서로 자신의 정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폭로전을 벌이고 있지만, 이는 재벌그룹의 ‘오너 리스크’와 고령에도 일선에 남아 경영에 부담을 주는 ‘창업자 딜레마’를 재확인시키는 꼴이 되고 있다. 이로 인해 롯데의 유무형적 기업가치만 추락할 판이다.
일본 롯데홀딩스는 22일 “신동주 전 부회장 해임의 결정적 이유는 소프트웨어 개발 벤처사업에 투자해 10억엔가량의 손해를 본 일”이라고 했다고 롯데그룹이 전했다. 롯데그룹이 확인한 롯데홀딩스의 주장을 종합하면, 신 전 부회장은 지난해 친분이 있는 시스템개발업체에 대한 투자를 진행했다. 롯데홀딩스 이사회는 투자 상한선을 정했으나 신 전 부회장이 무시하고 회삿돈을 10억엔 투자했으며, 결과는 실패였다. 지난해 말 이를 보고받고 격노한 신격호 총괄회장이 신 전 부회장에게 직접 해임 결정을 통보했고, 이튿날 롯데홀딩스 임원 5명을 불러 “신동주를 모든 직책에서 해임하라”고 지시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신동주 전 부회장 쪽은 “음해”라고 반박했다. 신 전 부회장의 에스디제이(SDJ)코퍼레이션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어 “해당 시스템 개발은 성공적인 결과물”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의 설명을 종합하면, 신 전 부회장은 신격호 총괄회장과 이사회로부터 처음에 400만달러, 이후 870만달러까지 투자 승인을 받았으나, 시스템 개발 특성상 30만달러가 추가로 들었다. 하지만 30만달러 투자는 이사회 승인을 받지 못했고, 신 전 부회장은 사재 출연을 제안했으나 거절당했다. 에스디제이코퍼레이션은 “롯데홀딩스와 신동빈 회장은 30만달러의 승인을 받지 못한 부분을 부풀려 신격호 총괄회장에게 10억엔을 투자해 손실을 봤다고 음해했다”고 주장했다.
이런 공방의 세세한 내용에 대한 진위는 불확실한 부분이 있다. 하지만 장남의 독단적 경영 행태를 이유로 올해 초 해임을 결정한 것도 신격호 총괄회장이고, 그로부터 불과 6개월여 만에 “장남이 후계자”라며 차남 신동빈 회장을 해임하라고 주장한 것도 신격호 총괄회장이라는 사실은 분명해졌다. 제왕적 행태로 경영을 이끌던 재벌그룹 창업자에게 누구도 고언을 하기 어려운 구조에서, 고령 창업자의 판단이 6개월여 만에 손바닥 뒤집히듯 바뀌고 전체 경영에 타격을 줘도 제어하기 어려운 리스크가 고스란히 드러난 것이다. 올해 93살인 신 총괄회장은 최근 인터뷰에서 “10년, 20년 더 경영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앞서 롯데 총수 일가의 경영권 다툼은 신동빈 회장이 일본 롯데홀딩스 이사회의 지지를 받고 지배구조 개선 방안을 발표하면서 잠시 수그러드는 듯했다. 하지만 지난 8일 신동주 전 부회장이 소송전 개시를 알린 뒤 총괄회장 집무실 쟁탈전과 각종 폭로전으로 이어지며 진흙탕 싸움이 끝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신동주 전 부회장의 롯데쇼핑 등 주요 계열사 지분이 신동빈 회장에게 크게 뒤지지 않는다는 점에서도 분쟁이 장기화할 가능성은 작지 않다. 이처럼 총수 일가가 초래한 오너 리스크는 롯데의 기업활동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당장 한달 앞으로 다가온 서울시내 면세점 면허 입찰이 위태롭다. 특혜 논란이 커진 면세점사업에서 호텔롯데가 기존 특허권 2곳을 수성하는 데 부담이 생길 수밖에 없다. 또 호텔롯데의 상장 등 지배구조 개선 로드맵도 장애물을 만날 가능성이 커졌다.
유신재 기자
ohor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