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개발원 ‘주관적 웰빙의 요인’ 분석
생활 안정·고립감 여부 가장 큰 영향
월수입·직업 종류는 상관도 낮아
“안정성 약한 노인·무직자 등 배려를”
생활 안정·고립감 여부 가장 큰 영향
월수입·직업 종류는 상관도 낮아
“안정성 약한 노인·무직자 등 배려를”
경제적 안정 여부가 소득의 절대적 수준보다 삶의 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개발원은 24일 이런 내용을 담은 보고서 ‘주관적 웰빙의 분포와 결정 요인’을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한국행정연구원이 지난해 말 공개한 ‘2014 사회 통합 실태 조사’를 토대로 작성됐다.
통계개발원은 ‘주관적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성별·연령·학력·혼인상태·직업·소득·인간관계·자율성 등으로 구분한 뒤, 이들 요인이 삶의 만족도와 갖는 상관도를 측정했다. 조사 결과, 주관적 삶의 만족도와 가장 큰 상관도를 보인 요인은 ‘경제 생활 안정도’(0.269, 1에 가까울 수록 상관도가 높다는 뜻)였다. 그 다음으로는 고립감(0.255)이었다. 고립감은 ‘외롭다고 느끼는 정도’ ‘자살하고 싶은 생각이 드는 정도’ ‘아무도 나를 잘 알지 못한다고 느끼는 정도’를 묻는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 측정됐다. 결국 다른 요인이 동일하다고 가정할 때 경제 생활의 안정도와 고립감이 삶의 주관적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준다는 얘기다.
반면 소득의 절대적 수준이나 직업의 종류는 상대적으로 상관도가 낮았다. 월 가구 소득이 500만원 이상일 경우 상관도는 0.016이었고, 200만~499만원일 경우는 0.003에 그쳤다. 서비스·판매직은 상관도가 0.032로, 관리·전문직(0.012)이나 사무직(0.012) 보다 높게 나왔으나 그 수준은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다.
이런 상관도들을 종합해보면, 소득의 절대적 크기나 직업의 종류보다는 소득의 안정성과 인간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다. 수입이 고무줄처럼 늘었다가 줄어드는 자영업자나, 전문직이라도 프리랜서처럼 고정 수입이 없는 비정규직은 상대적으로 삶의 만족도가 떨어질 수 있다.
우리나라 국민들의 삶의 만족도는 선진국에 견줘 낮은 편에 속했다. 국제연합(UN)의 ‘세계 행복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들의 삶의 만족도는 5.98(10점 만점)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평균값(6.61)에 못 미쳤다. 순위도 전체 34개국 중 26위였다.
삶의 만족도에 관심은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부쩍 커지고 있다. 경제 성장에 초점을 맞춘 정부 정책이나 제도만으로는 삶의 질을 담보할 수 없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이런 배경에서 오이시디는 2013년부터 ‘삶의 질 지표’를 매년 발표하고 있고, 유엔도 올해 처음 행복 보고서를 냈다. 통계개발원의 이번 보고서는 오이시디가 제시한 가이드라인을 적용한 국내 첫 조사 결과·분석이다.
한준 연세대 교수(사회학)는 “삶의 질은 전세계적으로 보편화된 관심사이며 정책적 의제가 됐다. 삶의 질의 측정 방법은 정부와 민간이 협업을 하되, 국민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는 형태로 진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통계개발원은 “주관적 삶의 만족도가 취약한 노인층이나 무직자,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정부의 정책적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세종/김경락 기자 sp96@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