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소비자물가동향 발표
지난해 소비자물가가 1년 전보다 0.7% 오르는 데 그쳤다. 역대 가장 적은 상승폭이다. 낮은 수준의 국제 유가가 물가 상승폭을 줄였다. 다만 하반기로 갈수록 물가 오름폭이 커지고, 가격 변동폭이 큰 석유류와 농산물 등을 뺀 근원물가는 연간 기준 2% 남짓 오르면서 연초 뜨거웠던 ‘디플레이션’ 논란은 다소 가라앉았다. 그러나 가계 소득 정체 등에서 비롯된 현재의 수요 부진 현상은 구조적 성격이 짙어 ‘저물가 현상’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한국은행의 내년 통화정책 운용에 관심이 쏠린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12월 및 연간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2015년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0.7% 상승했다. 지난해 초 담뱃값 인상에 따른 물가 상승 효과(0.59%포인트)를 빼면, 사실상 물가상승률은 0.1%에 그친다. 이런 상승률은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의 0.8%보다 낮은 것이며, 물가 관련 통계가 작성된 1965년 이후 최저치다.
저유가가 물가 상승 폭을 낮춘 핵심 원인이다. 2014년 말부터 이어진 저유가 기조에 휘발유(-17.3%)·경유(-20.5%) 등 석유제품 가격이 크게 하락하면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0.98%포인트나 끌어내렸다. 국내 경기 부진과 가계 소득 증가가 더딘 것도 물가 상승 폭을 억제하는 결과를 낳았다.
저유가·국내 경기부진 겹쳐
외환위기 직후 0.8%보다 낮아
채소·과일·집세 등은 크게 올라
소비자들 저물가 체감 힘들어
하반기 오름폭 커져…올핸 더 오를듯 2014년 6월(1.7%) 이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추세적으로 낮아지다 그해 12월 급기야 0%대로 떨어지면서 지난해 초에는 물가의 지속적 하락을 뜻하는 디플레이션 논란이 일었다. 연간 기준으로도 2011년 4.0%이던 물가 상승률이 2012년 2.2%, 2013~2014년 1.3%로 급격히 떨어진 것도 디플레이션 논란을 키웠다. 특히 경기 부진을 동반하는 일본식 디플레이션은 통상 한번 빠지면 벗어나기 어려운 특성이 있는 터라 물가 당국에 적극 대응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다만 물가의 장기 추세를 보여주는 근원물가가 한 해 전보다 2.2% 오르고, 그 상승폭도 2013년(1.6%) 이후 2년 연속 확대되고 있다는 점에서 디플레이션 논란은 지나친 측면이 있다는 지적도 있다. 한편에선 ‘저물가가 맞느냐’란 볼멘소리도 적지 않다. 소비 패턴에 따라 낮은 물가를 체감하기 힘든 가구가 적지 않았기 때문이다. 실제 채소·과일·육류 등 농축수산물의 가격 상승률(2.0%)은 전체 평균을 크게 웃돌았다. 파는 40.5%, 마늘은 23.3%, 양파는 33.9%나 가격이 올랐다. 전세 품귀 현상 탓에 집세도 2.5% 상승했다. 정부와 한국은행 등은 올해는 지난해보다 물가가 소폭 오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담뱃값 인상 효과가 사라지면서 연초에는 상승률이 1%를 밑돌 수는 있으나 하반기로 갈수록 상승 폭이 커지는 흐름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 정부와 한은은 각각 올해 물가상승률을 1.5%와 1.8%로 전망한다. 올해부터 한은의 중기 물가안정 목표가 종전 2.5~3.5%에서 2.0%로 낮아지면서 동시에 목표 달성을 위한 한은의 책임성도 강화하고, 정부도 ‘물가 안정’에서 ‘저물가 탈피’로 정책 기조를 전환한 터라, 한은과 정부가 올해 펼 정책도 물가 오름 폭을 키우는 구실을 할 것으로 보인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어 “내수 활성화를 통해 저물가를 탈피하고 경상성장률을 높여 국민들의 체감경기를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세종/김경락 기자 sp96@hani.co.kr
소비자물가 및 근원물가 상승률
외환위기 직후 0.8%보다 낮아
채소·과일·집세 등은 크게 올라
소비자들 저물가 체감 힘들어
하반기 오름폭 커져…올핸 더 오를듯 2014년 6월(1.7%) 이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추세적으로 낮아지다 그해 12월 급기야 0%대로 떨어지면서 지난해 초에는 물가의 지속적 하락을 뜻하는 디플레이션 논란이 일었다. 연간 기준으로도 2011년 4.0%이던 물가 상승률이 2012년 2.2%, 2013~2014년 1.3%로 급격히 떨어진 것도 디플레이션 논란을 키웠다. 특히 경기 부진을 동반하는 일본식 디플레이션은 통상 한번 빠지면 벗어나기 어려운 특성이 있는 터라 물가 당국에 적극 대응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다만 물가의 장기 추세를 보여주는 근원물가가 한 해 전보다 2.2% 오르고, 그 상승폭도 2013년(1.6%) 이후 2년 연속 확대되고 있다는 점에서 디플레이션 논란은 지나친 측면이 있다는 지적도 있다. 한편에선 ‘저물가가 맞느냐’란 볼멘소리도 적지 않다. 소비 패턴에 따라 낮은 물가를 체감하기 힘든 가구가 적지 않았기 때문이다. 실제 채소·과일·육류 등 농축수산물의 가격 상승률(2.0%)은 전체 평균을 크게 웃돌았다. 파는 40.5%, 마늘은 23.3%, 양파는 33.9%나 가격이 올랐다. 전세 품귀 현상 탓에 집세도 2.5% 상승했다. 정부와 한국은행 등은 올해는 지난해보다 물가가 소폭 오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담뱃값 인상 효과가 사라지면서 연초에는 상승률이 1%를 밑돌 수는 있으나 하반기로 갈수록 상승 폭이 커지는 흐름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 정부와 한은은 각각 올해 물가상승률을 1.5%와 1.8%로 전망한다. 올해부터 한은의 중기 물가안정 목표가 종전 2.5~3.5%에서 2.0%로 낮아지면서 동시에 목표 달성을 위한 한은의 책임성도 강화하고, 정부도 ‘물가 안정’에서 ‘저물가 탈피’로 정책 기조를 전환한 터라, 한은과 정부가 올해 펼 정책도 물가 오름 폭을 키우는 구실을 할 것으로 보인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어 “내수 활성화를 통해 저물가를 탈피하고 경상성장률을 높여 국민들의 체감경기를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세종/김경락 기자 sp96@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