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경제일반

한국 시간당 임금, 독일의 절반도 안돼

등록 2016-02-23 19:35수정 2016-02-23 21:01

한국, OECD 33개 회원국 중 22위
임금 불평등은 4번째로 심각
우리나라는 절대적인 임금 수준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3개 회원국의 중하위권이지만, 작업장 내 임금 배분의 불평등 수준은 회원국 중 네번째로 높았다.

23일 오이시디가 최근 펴낸 ‘당신의 일자리는 얼마나 좋은가’란 제목의 보고서를 보면, 2013년 현재 우리나라의 시간당 임금 소득(구매력 평가 기준)은 14.6달러로 회원국 중 22위에 머물렀다. 시간당 임금 소득이 가장 높은 나라는 룩셈부르크(35.7달러)였다. 같은 시간을 일해도 룩셈부르크 노동자가 한국 노동자보다 두 배 이상 보수를 더 받고 있다는 뜻이다.

상위권은 룩셈부르크를 비롯해 네덜란드(35.0달러·2위)와 스위스(33.5달러·3위), 노르웨이(31.9달러·4위), 덴마크(31.6달러·5위), 독일(31.2달러·6위) 등 임금 불평등 수준이 낮고 복지제도가 발달된 유럽 국가들이 차지했다. 미국(11위)도 26.4달러로 비교적 높은 순위였고, 일본(20위)은 19.6달러로 우리나라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오이시디는 이번 보고서에서 절대적인 임금 수준과 더불어 작업장 내 소득 불평등 정도를 반영해 ‘임금의 질’을 추정한 결과도 내놨다. 같은 임금을 받더라도 작업장 내 임금 불평등이 크다면 임금의 질이 상대적으로 나쁘다는 가정 속에서 이런 추정을 한 것이다.

오이시디는 자체 개발한 지수로 작업장 내 임금 불평등 수준을 제시했는데, 그 결과 우리나라(0.32)는 이스라엘(0.41)과 미국(0.35), 터키(0.34)에 이어 네번째로 높았다. 이를 반영한 ‘임금의 질’ 기준으로 우리나라는 절대 임금 순위에서 한 단계 미끄러진 23위로 나타났다.

한편 오이시디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회원국 대부분에서 임금의 질과 일자리의 안정성 등 일자리의 질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평가했다. 오이시디는 “금융위기와 고용시장 간의 상관관계를 볼 때 지금까지는 일자리 규모의 축소만 주목했으나, 이번 연구에서 일자리의 질도 악화된 사실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김경락 기자 sp96@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적자 수렁’에 갇힌 K배터리 1.

‘적자 수렁’에 갇힌 K배터리

8년 만에 출시하는 ‘닌텐도 스위치2’…게이머들 벌써 ‘두근’ 2.

8년 만에 출시하는 ‘닌텐도 스위치2’…게이머들 벌써 ‘두근’

OLED vs 미니LED TV…화질·내구성·가격 ‘재격돌’ 3.

OLED vs 미니LED TV…화질·내구성·가격 ‘재격돌’

이어지는 백종원 빽햄 구설…주가도 ‘빽’ 4.

이어지는 백종원 빽햄 구설…주가도 ‘빽’

90년대 휩쓴 TGI프라이데이스 국내서 문닫는다 5.

90년대 휩쓴 TGI프라이데이스 국내서 문닫는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