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경제일반

농업 인구 5년새 46만명 줄었다

등록 2016-04-25 20:36

지난해 257만명으로 16% 감소
어업인구는 13만명…25% 줄어
1970년 1400만명에 이르던 농업 종사 인구(농가 인구, 농부)가 지난해엔 300만명을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인구 100명 중 5명꼴이다.

통계청이 25일 발표한 ‘농림어업총조사’를 보면, 지난해 12월1일 기준 농가 인구는 256만9000명으로 직전 조사인 2010년에 견줘 46만4000명(16.1%) 줄었다. 농림어업총조사는 1960년 이후 5년에 한 번씩 이뤄지고 있다.

농가 인구는 전체 인구에 견주면 5.1% 수준이다. 감소폭은 2000년 16.9% 이후 2005년 10.8%, 2010년 10.8%로 그 폭을 줄여오다가 지난해 조사에서 다시 확대됐다.

지난 5년 새 농가 인구 감소폭이 커진 이유에 대해 통계청은 인구 고령화와 택지 조성에 따른 전업 효과로 풀이했다. 농가 인구 10명 중 4명(38.4%)은 65살 이상 고령자라는 점을 염두에 두면 앞으로도 계속 줄어들 전망이다. 농가 인구의 중위 연령은 59.1살로 전체인구(40.8살)보다 18.3살이나 높다. 농업 종사자를 한 줄로 세웠을 경우 정중앙에 서 있는 농업 종사자의 나이가 60살에 이른다는 뜻이다.

최근 한 흐름으로 형성되고 있는 ‘도시 농부’ 증가 현상은 통계로도 확인되고 있다. 읍이나 면 단위에서 살고 있는 농가는 2010년에 견줘 10.3% 감소했으나 유독 동 지역 농가는 같은 기간 되레 4.2% 늘었다. 통계청은 “동 지역이 주로 도시에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인천에 살면서 근처 강화나 김포 등에서 농사를 짓거나 서울에 집을 두고 구리 등 서울 근교에 농사일을 하는 도시 농업인이 늘어난 영향으로 보인다”고 풀이했다.

어업 종사 인구의 숫자는 농업보다 더 큰 폭으로 줄고 있다. 어가 인구는 12만9000명으로 5년 전에 견줘 4만3000명(24.9%)이나 줄었다.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3%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대별로 보면 60대가 25.4%로 가장 높고, 50대 24.8%, 70대 이상 18.5% 순이었다. 어가 인구의 중위 연령은 57.0살로 집계됐다.

김경락 기자 sp96@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적자 수렁’에 갇힌 K배터리 1.

‘적자 수렁’에 갇힌 K배터리

8년 만에 출시하는 ‘닌텐도 스위치2’…게이머들 벌써 ‘두근’ 2.

8년 만에 출시하는 ‘닌텐도 스위치2’…게이머들 벌써 ‘두근’

OLED vs 미니LED TV…화질·내구성·가격 ‘재격돌’ 3.

OLED vs 미니LED TV…화질·내구성·가격 ‘재격돌’

이어지는 백종원 빽햄 구설…주가도 ‘빽’ 4.

이어지는 백종원 빽햄 구설…주가도 ‘빽’

90년대 휩쓴 TGI프라이데이스 국내서 문닫는다 5.

90년대 휩쓴 TGI프라이데이스 국내서 문닫는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