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업생산 전달보다 0.1% 줄고
소매판매 22개월만에 최대 감소
개소세 종료에 건설투자도 위축
체감경기 싸늘…기업실사지수↓
정부 “경기 회복세 제약 가능성”
소매판매 22개월만에 최대 감소
개소세 종료에 건설투자도 위축
체감경기 싸늘…기업실사지수↓
정부 “경기 회복세 제약 가능성”
올해 하반기 들어 경기가 급격히 가라앉고 있다. 올 상반기 경기를 떠받치던 건설투자 증가 폭이 낮아지고, 개별소비세 인하와 재정 조기 집행 등 정부의 부양 정책 효과마저 사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7월 생산·투자·소비가 전달보다 모두 부진했다. 설비투자와 전산업생산은 전달 대비 각각 11.6%, 0.1%(계절조정) 감소했고, 소비를 나타내는 소매판매도 2.6% 줄었다. 설비투자 감소 폭은 2003년 1월(13.8%) 이후 13년 6개월 만에, 소매판매 감소 폭은 2014년 9월(3.7%) 이후 1년 10개월 만에 가장 크다.
경제 활동이 7월에 크게 위축된 배경은 일단 정부의 ‘정책 효과 소멸’에서 찾을 수 있다. 6월 말에 정부의 승용차 개별소비세 인하 조처가 종료되면서 자동차 회사 등이 운송장비에 대한 투자를 31.5%나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승용차를 포함한 내구재 판매도 9.9%나 줄어 소매판매 평균 감소 폭(2.6%)보다 3배 이상 컸다. 어운선 통계청 산업동향과장은 “개소세 인하 종료로 승용차 판매가 줄었고, 무더위 등으로 야외 활동이 위축되면서 주요 경기 지표가 악화됐다”고 말했다.
여기에다 7월엔 토목 공사나 민간 건축 등 건설투자마저 주춤했다. 건설기성(경상 가격 기준)은 건축 분야의 활황 영향으로 지난 2분기(4~6월)에 전기 대비 55%나 증가하며 올 상반기 경기의 버팀목 구실을 했다. 그러나 7월엔 전달 대비 증가율이 0.3%에 그쳤다. 재정 여력이 바닥나면서 공공기관의 건축 발주 공사가 크게 줄어드는 등 부동산이 경기를 견인하는 힘이 떨어진 셈이다.
이런 경기 지표들은 올해 경기 흐름이 7월을 기점으로 반전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키운다. 올 상반기(1~6월) 경기 흐름은 중국발 충격에 따른 수출 급감으로 냉랭하게 출발한 뒤 재정 조기 집행과 개별소비세 인하 연장 등 정부의 경기 보강 정책이 쏟아지고 건설투자가 급증하면서 3~4월부터는 더딘 속도로나마 개선세를 보였다.
실제 전반적인 경기 흐름을 보여주는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지난해 11월부터 올 3월까지 다섯달 연속 전달 대비 감소하다가 5월부터는 상승 폭을 키워갔다. 7월에도 전달보다 0.4포인트나 상승했다. 서만영 통계청 경제통계기획과 사무관은 “3개월 이동평균값을 쓰는 경기동행지수의 특성을 염두에 두면 7월 생산·투자·소비 부진은 8월 이후 경기동행지수의 상승 폭 둔화나 감소를 예고한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5~7월 지표에서 석달간 이어진 상승세가 8월 지표에선 꺾일 여지가 크다는 얘기다. 9월 말에 발표될 8월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하락세가 뚜렷해지는 7월 이후 경기를 반영하는 비중이 큰 탓이다.
체감 경기는 이미 식고 있다. 한국은행이 이날 발표한 ‘8월 제조업 업황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71로 전달보다 1포인트 떨어졌다. 기업경기실사지수는 기업이 느끼는 경기 상황을 나타낸 지표로 기준치인 100 이상이면 경기를 좋게 보는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많다는 뜻이다.
정부의 경기 진단도 이와 다르지 않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어 “정책효과 약화에 따라 소비 등 내수를 중심으로 전반적으로 (경기가) 조정을 받는 모습”이라며 “8월에도 추가경정예산안(추경) 처리 지연과 자동차 파업 등의 영향으로 경기 회복세가 제약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윤인대 기재부 경제분석과장은 “경기 회복 모멘텀 유지를 위해 추경을 신속하게 집행하도록 노력하고 가계와 기업 부채 등에 대한 위험 관리도 강화해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김경락 유선희 기자 sp96@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