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고령화 영향’ 보고서
2030년엔 고령인구가 24.5%
가계저축률 -3.6%로 하락
“금융시장에 구조적 변화”
‘산업구조 변화’ 보고서도 내
물품수요↓ 복지수요↑
저기술 제조업↓ 보건서비스업↑
“장기 노동수급계획 필요”
2030년엔 고령인구가 24.5%
가계저축률 -3.6%로 하락
“금융시장에 구조적 변화”
‘산업구조 변화’ 보고서도 내
물품수요↓ 복지수요↑
저기술 제조업↓ 보건서비스업↑
“장기 노동수급계획 필요”
인구 고령화 여파로 10년 뒤에는 국내 가계저축률이 마이너스로 돌아설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소득은 잘 늘지 않으나 의료비 지출 등 소비는 크게 줄이기 힘든 ‘고령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확대되면서 저축률이 낮아진다는 것이다. 또한 인구 고령화 현상은 제조업의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등 국내 산업구조의 재편으로 이어진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한국은행은 2일 인구 고령화 현상이 금융시장과 산업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따져본 보고서 두편을 발표했다. 먼저 조세형 한은 금융시장국 시장정보반 과장 등이 쓴 ‘인구고령화가 가계의 자산 및 부채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는 고령화 진전에 따라 가계저축률이 하락하고 안전자산 비중이 늘어나는 등 금융시장에 구조적 변화를 가져올 가능성이 크다는 주장을 담았다.
이 분석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거시경제 자료를 토대로 고령화와 저축률·금융자산 구조 변화를 따져본 뒤, 그 결과를 통계청이 작성한 ‘장래인구추계’에 적용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오이시디 회원국의 경우 고령인구(65살 이상) 비중이 1%포인트 증가하면 가계저축률과 위험자산 보유비중은 각각 1.076%포인트와 0.52%포인트씩 하락하고, 현금과 예금(0.731%포인트) 같은 안전자산 보유비중은 증가했다.
이를 국내에 적용하면, 고령인구 비중이 2015년 12.8%에서 2030년 24.5%로 상승하는 동안 가계저축률은 같은 기간 8.9%에서 -3.6%로 추세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나타났다. 저축률이 마이너스(-)로 전환되는 시점은 2026년께였다. 저축률이 마이너스라는 뜻은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실물자산을 처분해 소비에 쓰는 돈이 더 많아진다는 것을 가리킨다. 가계저축률은 가계가 저축한 돈을 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눈 값이다.
다만 연구진은 고령인구로 진입하고 있는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한 뒤 실물자산을 급격히 처분하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조세형 과장은 “고령화되더라도 기대여명 증가 등에 대비해 예비적 저축을 할 유인이 있고 자녀 상속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실물자산 처분은 완만한 속도로 이뤄질 것이다. 다만 75살이 넘으면 실물자산 처분이 두드러지게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고령화 충격을 줄이기 위해선 보유자산을 맡기고 연금을 받을 수 있는 역모기지론과 같은 자산을 유동화한 금융상품 개발에 관심을 쏟아야 한다고 제안했다.
강종구 한은 전 미시제도연구실장은 인구 고령화와 산업구조의 상관도를 따져봤다. 그가 쓴 ‘인구고령화에 따른 우리나라 산업구조 변화’ 보고서는 “인구 고령화에 따라 제조업 내에서 섬유·가죽업과 저기술 제조업 부문 비중이 줄어들고 서비스업 중 보건·복지업과 사업서비스업 비중이 대폭 상승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고령인구 비중 확대는 제조업 생산 물품에 대한 수요를 줄이고 복지 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크게 증가하고, 이런 수요 변화가 해당 산업의 생산성에도 영향을 끼쳐 결과적으로 해당 산업분야의 비중 변화를 가져온다는 주장이다. 강 전 실장은 “인구 구조 변화에 대응해 산업구조가 효율적으로 개편될 수 있도록 장기 노동수급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경락 기자 sp96@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