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으로 조정하는 방식…20시간만 교육·적성검사 받으면 조정가능
최근 4년새 6배 이상 급증…대형 크레인 조종사 일자리 불안에 파업
최근 4년새 6배 이상 급증…대형 크레인 조종사 일자리 불안에 파업
타워크레인 노조 파업이 사흘째 이어지는 가운데 이들이 고공 농성까지 벌이며 격렬한 투쟁에 나선 데는 소형 타워크레인의 안전 문제와 함께 이 장비의 보급으로 인해 일자리를 빼앗기는 노조원들의 위기감이 크게 작용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최근 국내 건설 현장에서 작업 효율과 비용 절감 등을 위한 소형 타워크레인 사용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는 현실이 이번 파업의 배경이라는 것이다.
3톤 미만의 자재를 움직여 주로 10층 이하 건축물 시공에 활용할 수 있는 소형 타워크레인은 지난 2014년 등록제로 도입됐다. 소형은 타워크레인에 직접 탑승하지 않고 조종사가 원격으로 조종하는 방식이어서, 운전기능사 자격시험을 통해 면허를 따야 하는 대형 타워크레인과 달리 20시간 교육과 적성검사만 받으면 조종이 가능하다. 이에 층고가 높지 않은 건축 현장을 중심으로 수요가 빠르게 늘면서 최근 몇년새 소형 타워크레인 등록 대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2015년 272대에 그쳤던 소형 타워크레인 등록 대수는 지난 5월 현재 1845대로 6배 이상 급증한 반면 지난해말 4457대였던 대형 타워크레인은 올해 5월 4385대로 감소 추세다. 소형 타워크레인 조종사 면허 보유자는 지난해말 8256명으로 전체 조종사(1만6883명)의 49%에 이른다.
건설업계는 작업 편의성, 인력 수급 등을 고려해 소형 타워크레인 사용 범위를 늘려나가고 있는 중이다. 특히 대형에 견줘 인력 수급이 원활하다는 게 업체들이 소형 타워크레인을 선호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일종의 도제식으로 양성되는 대형 타워크레인 조종사와는 달리 소형 타워크레인은 조종사 양성이 상대적으로 쉽고 그만큼 인건비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공기에 쫓기는 공사 현장에선 적기에 타워크레인 장비를 쓰려면 ‘월례비’라고 불리는 뒷돈도 줘야 하는 게 관행”이라면서 “기술 발전에 따른 신규 장비 사용을 아예 금지하라는 노조의 요구는 무리가 있다”고 말했다. 노조가 제기하는 안전 문제에 대해선, 대형과 소형의 차이가 크게 없다는 게 업계의 얘기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일반 타워크레인(3톤 이상)과 소형 타워크레인에서 발생한 사망 사고 비율은 7대 3으로, 운영되는 크레인 수 비율과 거의 같았다.
최종훈 기자 cjh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