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초기 세종특별자치시의 전경. 한겨레 자료사진
지난해 영·호남 지역에서 유출된 인구가 수도권과 중부권으로 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7년 순유입 전환 뒤 수도권으로 유입되는 인구가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국내인구이동통계’를 보면, 권역별로 수도권과 중부권에는 각각 8만3천명, 1만1천명의 인구가 순유입됐고, 영남과 호남권에서는 각각 7만1천명, 2만5천명이 순유출한 것으로 집계됐다. 출생을 제외한 인구이동의 결과, 수도권과 중부권으로의 인구 집중 현상이 나타난 셈이다.
특히 수도권으로의 인구 유입이 두드러졌다. 수도권으로의 인구 이동은 2011년 처음으로 8천명 순유출을 기록하며 전입보다 전출이 많아졌다. 이후 2013~2016년 4년 연속으로 순유출을 보이다 2017년 1만6천명 순유입으로 돌아섰는데, 2018년 6만명, 2019년 8만3천명 등으로 순유입 규모가 커지고 있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권역 간 순이동을 보면, 수도권은 영·호남, 중부권 등 나머지 3개 권역에서 모두 인구가 순유입됐다”며 “2012년 이후 공공기관 이전을 통해 수도권에서 지방으로 이동이 있었는데, 2019년에 이전이 완료되면서 순유입이 늘어나는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고 짚었다.
수도권으로의 인구 집중을 제외한 전체 인구이동은 1976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 2019년 전체 국내 인구 이동자는 710만4천명으로 1976년 이후 40여년 만에 가장 적었다. 고령화 등 인구구조의 변화, 산업 고도화로 인한 인구이동의 수요 저하, 교통·통신 기술의 발달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통계청은 분석했다. 또 전년 대비 신규 입주 아파트가 11.6% 감소하고 주택매매 거래량이 6.0% 감소한 것도 이유로 꼽힌다. 지난해 이동자들 가운데 전입사유로 ‘주택’(38.8%)을 꼽은 이들이 가장 많았다.
한편 시도별로 인구 순유입률이 가장 많은 지역은 세종(7.3%), 경기(1.0%), 제주(0.4%) 순이었다. 이어 충북(0.2%)과 강원(0.1%)도 전출자보다 전입자가 많았다. 이들 5개 시도를 제외한 12개 시도에서는 전출자가 전입자보다 많은 순유출을 기록했다. 특히 대전(-1.1%), 대구(-1.0%), 울산(-0.9%), 전북(-0.7%), 부산(-0.7%) 등의 순유출률이 높았다.
노현웅 기자
golok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