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요20개국(G20) 긴급 화상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국제통화기금(IMF)이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경기 침체(recession)가 글로벌 금융위기 이상의 경제적 피해를 야기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 총재는 23일(현지시각)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주요20개국(G20)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 긴급 화상회의에서 이렇게 말했다. 그는 “2020년의 성장률 전망은 부정적이며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침체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와 비슷한 수준이거나 더 심각할 것으로 보인다”며 “이 같은 피해를 극복하기 위해 2009년 당시보다 훨씬 더 큰 비용이 소요되며 전례 없는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신흥시장과 저개발 국가의 신용 위기를 특별히 경계했다. 그는 “일반적으로 선진국들이 대응하기에 더 나은 위치에 있다”면서 “위기는 많은 신흥시장에 더 큰 타격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코로나19 발발 이후 투자자들이 신흥시장에서 830억달러 이상을 회수한 점을 들어, 저소득 국가의 부채 위기 발발을 특별히 우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위기 극복을 위한 각국의 재정적 노력과 완화적인 통화 정책을 강력히 지지한다”며 “국제통화기금도 1조달러 규모의 대출 신용도를 모두 투입해 각국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영향은 크겠지만 바이러스가 빨리 물러갈수록 회복도 빨라질 것”이라고 밝혔다. 데이비드 맬패스 세계은행(WB) 총재도 이날 개발도상국을 지원하기 위해 앞으로 15개월 동안 1500억달러 규모의 자원을 투입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 주요20개국 채권국들에 대해 저소득 국가가 코로나19와 싸우는 동안 부채 상환을 중단해 달라고 요청했다.
한편 이날 회상회의에서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각국의 이동제한 조처가 완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 부총리는 “향후 마련되는 주요20개국(G20) 행동계획(액션플랜)에 거시정책 국제적 공조와 인적·물적 이동제한의 완화, 글로벌 금융안정망 강화 등이 잘 반영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 부총리는 또 한국의 방역 대응을 소개하며 “위기 극복을 위해서는 국가 간 방역 경험의 공유와 긴밀한 국제 공조가 중요하다”고도 강조했다.
이날 회의는 이번주 열릴 예정인 주요20개국 긴급 화상회의에 앞서 주요 의제를 조율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주요20개국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은 코로나19가 시장과 경제적 여건에 미치는 영향을 긴밀히 모니터링하기로 하는 한편 국제 공조를 위한 ‘행동계획’을 발전시키기로 합의했다.
노현웅 기자
golok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