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관계자가 점프 스튜디오 안에서 모션 촬영을 하고 있다. 점프 스튜디오는 106대의 카메라를 통해 360도로 초당 최대 60프레임 촬영이 가능하다. SK텔레콤 제공
5세대(5G) 통신전용 킬러콘텐츠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통신업체가 ‘혼합현실(Mixed Reality)’ 서비스를 들고 나왔다. 에스케이텔레콤(SKT)은 29일 마이크로소프트와 협력을 통해 고화질 3D 홀로그램을 만드는 혼합현실(MR) 제작소 ‘점프 스튜디오'를 개설했다고 밝혔다.
SK텔레콤 관계자들이 점프 스튜디오 안에서 혼합현실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다. SK텔레콤 제공
‘혼합현실’은 인공지능과 컴퓨터 그래픽 기술을 이용해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의 기능을 융합해 가상의 이미지를 현실 공간에서 실감나게 구현하는 기술이다. 아이돌을 3D 홀로그램으로 만들어 공연과 광고에 활용하거나, 게임과 영화 속 캐릭터를 제작하는 사업이 가능해진다. 프로골퍼의 스윙 모습을 360도 회전하면서 분석하는 등 인물의 움직임을 캡처해 홀로그램 영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2022년 글로벌 혼합현실 시장 규모는 2조1010억원 수준으로 예상된다..
마이크로소프트의 볼류메트릭(Volumetric) 영상 캡처기술과 에스케이텔레콤 ‘T리얼 플랫폼’의 공간인식·렌더링 기술을 적용해 MR용 콘텐츠를 제작할 계획이다. 에스케이텔레콤에 따르면, 점프 스튜디오는 106대의 카메라를 설치해 인물의 움직임을 360도로 초당 최대 60프레임으로 촬영할 수 있다. 이를 활용해 자연스러운 동작의 고화질 3D 홀로그램을 만든다. 에스케이텔레콤은 혼합현실 콘텐츠를 제작한 뒤 엔터테인먼트 기업, 공연·광고 기획사 등과 파트너십을 맺어 공급할 계획이다. 전진수 에스케이텔레콤 5GX서비스사업본부장은 “점프 스튜디오를 통해 혼합현실 콘텐츠를 확대해 실감미디어 대중화 시대를 열 것”이라며, “점프 스튜디오를 아시아 대표 콘텐츠 허브로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강조했다.
점프 스튜디오는 공정 대부분을 자동화해 3분 분량의 혼합현실 콘텐츠를 만들 때 기존에 3∼4개월, 수억원이 필요하던 제작기간과 비용을 1∼2주, 절반 이하의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효율화도 이뤄냈다고 에스케이텔레콤 쪽은 설명했다.
구본권 선임기자
starry9@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