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경제일반

인공지능, “저사람 기침했어요” 콕 찍어 표시

등록 2020-08-03 12:59수정 2020-08-04 02:03

카이스트 연구진, 기침 소리·장소·횟수 식별하는 AI카메라 개발
코로나19에 유용한 ‘비접촉식 탐지’기술…현 정확도 87%
향후 다중 밀집시설·병원에서 감염병 확인 및 환자모니터 유용
연구실 환경에서 기침 인식 카메라가 기침 발생 위치를 표시하는 화면. 카이스트 제공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실시간으로 기침 소리를 인식하고 기침한 사람의 위치와 기침 횟수 등을 이미지로 표시해주는 인공지능(AI) 기반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는 3일 박용화 교수(기계공학과) 연구진이 에스엠인스트루먼트와 공동으로 인공지능 딥러닝 기반의 `기침 인식 카메라’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발열은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해 비접촉으로 쉽게 판별할 수 있다. 하지만 간헐적 증상인 기침은 비접촉방식으로는 관찰과 식별이 어려웠다. 박 교수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침 소리를 실시간으로 인식하는 딥러닝 기반의 기침 인식 모델을 개발했다. 특히 이 모델은 기침 소리와 위치, 횟수까지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기록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연구진은 기침 인식 카메라가 다중 이용시설이나 밀집환경에서 전염병의 유행을 감지하거나 병원에서 환자 상태를 상시 모니터링하는 의료용 장비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구진은 기침 인식 모델의 훈련(딥러닝)을 위해 구글·유튜브 등에서 연구용으로 사용중인 공개 음성데이터 세트인 오디오세트(Audiose)를, 다양한 배경 소음 학습을 위해 ‘디맨드’(DEMAND) 등의 데이터세트를 활용했다. 연구진은 기침인식 카메라를 테스트한 결과, 여러 잡음 환경에서도 기침 소리의 구분이 가능하며 기침하는 사람과 위치, 횟수 등을 실시간으로 추적해 87.4%의 정확도를 보였다고 밝혔다. 정확도 수치는 향후 데이터가 축적되고 실제 활용될 경우 더 높아질 것으로 연구진은 말했다.

구본권 선임기자 starry9@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슬금슬금 엔화 강세…20개월 만에 100엔당 950원 넘어 1.

슬금슬금 엔화 강세…20개월 만에 100엔당 950원 넘어

혹평에도 93개국 1위 한 ‘오겜 2’…K-미디어의 가능성은? 2.

혹평에도 93개국 1위 한 ‘오겜 2’…K-미디어의 가능성은?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3.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위기의 롯데그룹…내수·외국인 관광객에 명운 달렸다 4.

위기의 롯데그룹…내수·외국인 관광객에 명운 달렸다

“김재규가 쏘지 않았어도 ‘박정희 경제 모델’은 망했을 것” 5.

“김재규가 쏘지 않았어도 ‘박정희 경제 모델’은 망했을 것”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