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참여 ‘팩트체크 플랫폼’ 오픈키로
한상혁 방통위원장 “모두에게 미디어 교육 지원”
한상혁 방통위원장 “모두에게 미디어 교육 지원”
범정부 차원에서 국민들의 디지털 활용능력을 높이는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교육이 시행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27일 문화체육관광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교육부, 행정안전부 등 5개부처 합동으로 ‘디지털 미디어 소통역량 강화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정부가 디지털뉴딜 정책에서 ‘코로나19 이후 시대 핵심과제’로 제시한 디지털 격차 완화 및 포용정책의 일환이다. 정부는 미디어 발전의 결과물을 다 함께 누리고, 나이와 계층, 지역으로 인해 디지털 사회에서 소외되는 일이 없도록 디지털 미디어 이용 및 제작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종합계획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종합계획은 “소통과 배려의 새로운 디지털 공동체 실현”이라는 목표 아래 △온·오프라인 미디어교육 인프라 확대 △국민의 디지털 미디어 제작역량 강화 △미디어 정보 판별역량 강화 △배려·참여의 디지털 시민성 확산 등 4개의 전략과제로 구성돼 있다.
종합계획엔 허위조작정보가 늘어나고, 이로 인해 코로나19 방역에도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가짜뉴스에 대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핵심과제로 포함돼 있어 눈길을 끝다.
정부는 미디어가 제공하는 정보들을 비판적으로 습득·활용할 수 있도록 팩트체크 시민교육을 확대하고, 언론·사회·경제 등 분야별 전문가가 전문 팩트체커로 활동할 수 있도록 심화교육도 실시할 계획이다.
또한 팩트체킹 과정 등에 국민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팩트체크 오픈 플랫폼도 구축·운영하여 시민들의 팩트체크 참여를 지원할 계획이다. 소셜미디어와 유튜브 등 인터넷 추천서비스의 작동구조(알고리즘)에 대한 교육을 실시해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분별력을 높인다는 목표다.
시청자미디어센터와 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원 등 기존의 미디어교육 거점시설에 대한 지원과 육성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전국 10곳에 있는 시청자미디어센터에서는 누구나 미디어 제작·체험을 할 수 있도록 시설·장비를 무상으로 지원하고, 미디어교육원은 교원연수 전문기관으로 육성하고, 학교미디어교육센터를 신설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지원할 계획이다.
방송통신위원회 한상혁 위원장은 “비대면 사회에서 더욱 중요해진 디지털 미디어 활용 능력을 전 국민이 갖출 수 있도록 미디어교육을 확대하고 인프라를 강화하는 한편, 누구도 미디어교육의 혜택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촘촘히 지원하겠다”라며 강력한 추진의지를 표명했다. 측정을 통해 전 국민 미디어 리터러시 증진을 위한 중장기적 정책방향을 수립한다.
한편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소속 정필모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지난 24일 국민들의 미디어 역량 강화를 위한 ‘미디어교육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대표발의했다. 가짜뉴스 확산환경에서 미디어교육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현재는 정부 여러 부처에 기능이 나뉘어 있어 효율적이고 종합적인 추진이 어렵기 때문에 관련 전문 위원회인 ‘미디어교육위원회’를 설립하자는 게 골자다. 정 의원이 대표발의한 법안은 △미디어교육의 정의 신설 △ 미디어교육위원회 설치 △미디어교육종합계획 수립 및 평가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구본권 선임기자 starry9@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