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020년 발표한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과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통해 녹색 기술을 보유한 유망 중소기업들을 집중 육성하려 한다. 중소벤처기업부와 환경부는 2022년까지 ‘그린뉴딜 유망기업’ 100곳 선정해 연구개발과 사업화 자금으로 기업당 최대 3년간 30억원씩을 지원하고 있다. 지난해 말 41개사(중기부 20, 환경부 21)를 선정한 데 이어, 올해엔 30개사를 추가지원하는 공모신청을 오는 11일까지 받고 있다. 중기부는 연구개발 지원 중심으로 녹색기술 분야 혁신형 중소기업을 중점지원한다. 지난해 선정한 20개사의 평균 업력과 매출액은 각각 8.8년, 78억원이다. 20곳 중 절반 이상이 업력 7년 미만의 신생기업이다.
윤세명 중기부 기술개발과장은 “유럽이나 미국, 일본 등도 국가 차원에서 그린 산업을 적극 육성해 그린유니콘 기업이 탄생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탄소중립 녹색경제로 가야 하는 상황에서 중소기업의 참여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중기부에 따르면, 국내 그린 분야 창업은 해마다 5000건 이뤄지고 있다. 그린 기업 수도 5만8000여개에 이른다. 하지만 영세한 편이라 평균 연매출이 17억원에 그친다. 북미지역처럼 거대 생태산업단지가 개발되고 산업 생태계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국내에서도 그린 산업 분야에서 기업가치 1조원의 유니콘기업으로 성장하는 벤처기업이 나와야 한다는 게 정부가 육성 정책을 펴게 된 배경이다.
업계 관심은 높다. 지난해 공모는 3차 추가경정예산안이 국회를 통과된 뒤 긴급하게 진행됐는데도 지원 경쟁률은 14.5대1에 이르렀다. 다만 대부분의 사업장이 지방에 위치하고 중소기업인 터라 우수인력 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병역특례와 스톡옵션 등도 방편이지만 그린 뉴딜 벤처기업의 장기 성장을 담보할 수 있는 우수인력 확보가 기업과 정부가 풀어야할 과제로 꼽힌다.
구본권 선임기자
starry9@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