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서울 시내 한 부동산 중개업소. 연합뉴스
금리인상과 자산가격 조정이 시작되면서 부동산 대출·투자에서 부실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금융당국도 올해 증권사 등 2금융권을 중심으로 부동산금융 위험 요인을 집중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키움증권 리서치센터는 17일 발간한 ‘2월 부동산·금융 먼슬리’ 보고서에서 최근 아파트 미분양 증가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로 전이될 가능성을 경고했다. 지난해 12월 전국 미분양 주택은 1만7710호로, 지난해 9월(1만3842호)보다 27.9% 늘었다. 보고서는 “미분양 증가는 부동산 피에프의 부실로 연결될 수 있어 금융안정에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내 증권사들이 지난 2019년 부동산 피에프 시행사의 대출채권을 기초자산으로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발행을 늘렸다가 이듬해 코로나19 감염 사태로 금융시장이 위축되면서 자금경색이 일어났다는 사실을 언급했다. 보고서는 “미분양 증가는 건설사의 이익 감소뿐만 아니라 금융회사의 건전성 악화로 확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부분”이라고 했다.
코로나19 이후 부동산 대출·투자가 꾸준히 늘면서 금융당국도 부실 위험에 대비하고 있다. 한국은행 금융안정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9월말 기준 전체 금융권의 부동산금융 위험노출금액(익스포저)은 2448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2% 증가했다. 가계여신(1253조2천억원) 부문이 10.5% 증가했고, 부동산 임대·공급·관련 서비스업 기업대출(936조6천억원)은 14.3% 늘었다. 주택저당증권(MBS)·부동산펀드·리츠 등 금융투자상품(298조3천억원)은 12.7% 늘었다.
금융당국은 이 가운데 증권사·카드사 등 2금융권의 부동산금융 부실 우려를 집중적으로 보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달 초부터 증권사를 중심으로 2금융권의 부동산금융 부실 요인을 점검하기 시작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아직 부실이 나타나는 상황은 아니지만 주로 지급보증, 프로젝트파이낸싱, 부동산펀드, 유동화증권 등에서 위험 요인을 살펴보는 것”이라고 말했다.
2금융권 가운데서도 증권사·카드사는 주로 단기자금시장에도 돈을 끌어오기 때문에 금융당국이 부실 우려에 더욱 신경을 쓴다. 이들은 주로 만기가 1년 미만인 기업어음(CP)·양도성예금증서(CD)·환매조건부채권(RP) 등을 발행해 자금을 조달한 뒤 투자금 회수에 2~3년 이상 걸리는 부동산에 대출·투자한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저금리에 유동성이 풍부할 때는 자금을 싸게 조달하고 만기연장도 잘 돼서 이런 영업방식이 큰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앞으로 유동성이 줄고 금리가 오르면 만기연장 등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어 선제 조처가 필요한 부분을 점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