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못된 판단을 했을 때 사람은 두 가지 형태로 움직인다. 하나는 잘못된 판단인 줄 알면서도 뒤늦게 판단을 수정하기 면구스러워 그대로 간다. 다른 하나는 판단을 빠르게 수정한다. 문제는 잘못된 판단의 정도가 심할 때인데, 반대쪽에 너무 큰 힘을 싣다 보니 예기치 못한 일이 벌어지기도 한다.
코로나 발생 이후 미 연방준비제도(연준)는 많은 실수를 저질렀다. 재작년에는 금리를 최저로 낮추고, 유동성을 공급하는 정책이 맞았다. 팬데믹이란 초유의 일이 벌어진 만큼 정책 강도를 최대로 높이는 게 당연하기 때문이다. 문제는 작년이었다. 코로나가 발생하고 반년이 지나면서 앞으로 상황에 대한 윤곽이 잡혔다. 팬데믹이 경제에 어떤 영향을 주고, 경제가 그 악영향을 견딜 수 있는지 그리고 완화적인 정책을 계속할 경우 어떤 부작용이 발생할지 등 전망이 가능해진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유동성을 풀고, 금리를 낮추는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수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연준은 무시했다. 물가 상승 요인이 없는 건 아니지만 시간이 지나면 해소될 것이므로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얘기했다. 공급 차질이 인플레를 가져온 주요인이라는 진단도 그때 같이 나왔다. 연준이 안심하고 있는 사이 인플레와 자산시장이 급등했고, 중앙은행들이 안아야 하는 부담이 더 커졌다.
최근에 연준이 판단 미스를 인정했다. 그리고 반대쪽에 큰 힘을 싣고 있다. 연준 내 주요 인사들이 상반기에 0.5%포인트씩 두 번, 하반기에 0.25%포인트씩 네 번 금리를 올려야 한다고 얘기하고 있다. 그렇게 되면 올해 말에 미국의 기준금리가 2.5%가 된다. 대단히 빠르게 정책을 바꾸는 건데, 연준이 앞뒤를 가릴 처지가 아닌 것이다.
그럴수록 또 다른 판단 착오가 생길 가능성이 높아진다. 금융위기 직전에 비슷한 일이 있었다. 2004년 6월에 연준이 1.0%였던 기준금리를 처음 인상했다. 미국 경제가 1930년 대공황 때보다 낮은 금리를 가져가야 할 정도인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 데다, 유동성으로 인해 주택가격이 급등하는 부작용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이후 긴축이 강하게 진행돼 2년간 17차례의 금리 인상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그 후유증으로 2008년에 금융위기가 발생했다.
지난 1월에 연준의 긴축 선회로 주가가 크게 떨어졌다. 한동안 조용해졌지만 최근 긴축의 악영향이 다시 작동하고 있는 모습이다. 반등이 끝나고 주가가 하락할 경우 긴축이 이를 촉발하는 요인이 될 가능성이 높다. 금리 인상에 따른 경기 둔화도 무시할 수 없는 영향을 미칠 것이다.
2021년을 지나면서 세계 최고 금융정책기관으로서 연준의 신뢰도가 크게 떨어졌다. 그 정도 실력밖에 되지 않느냐는 비아냥이었다. 연준 입장에서는 금융위기 이후 가장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는 건데, 스스로 자초한 일인 만큼 누구를 탓할 수도 없다.
주식 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