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연합뉴스
코로나19 대유행 사태를 거치며 우리나라 가계는 100조원이 넘는 ‘초과저축’을 축적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초과저축은 늘어난 소득을 소비나 부채 상환에 쓰지 않고 예금이나 주식 투자금 등으로 보유하고 있는 자금을 뜻한다.
한국은행은 24일 ‘팬데믹 이후 가계 초과저축 분석 및 평가’ 보고서에서 2022년 말 현재 우리 가계부문의 초과저축 규모는 101조~129조원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4.7~6.0%, 명목 민간소비의 9.7~12.4% 수준이다. 보고서를 쓴 한은 조사국 동향분석팀은 미국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이 적용한 방식을 원용해 코로나19 팬데믹 전후의 가계저축률 차이 등을 근거로 초과저축을 추정했다고 설명했다. 팬데믹 이전 5년(2015~2019년) 동안 연평균 7.1%를 나타내던 국내 가계저축률은 팬데믹 기간(2020~2022년)에 평균 10.7%로 크게 높아졌다.
보고서는 “지난해 이후 큰 폭의 금리 인상에도 주요국에서 소비가 양호한 가운데 주택가격 조정폭도 과거 위기 때와 비교해 크지 않은 상황”이라며 “이는 초과저축에 따른 양호한 가계 재무상황이 그 원인 중 하나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미국과 달리 초과저축이 줄지 않고 지속적으로 쌓이는 추세에 있다고 보고서는 강조했다. 조주연 한은 동향분석팀 과장은 “고소득층뿐만 아니라 저소득층에서도 초과저축 누적 증가가 이어졌다”며 “팬데믹 초기 2년 동안 비자발적인 소비 감소에 더해 지난해까지 이어진 고용 호조와 정부 지원 등으로 소득 여건이 양호한 영향이 컸다”고 풀이했다.
초과저축이 소비 확대로 이어지지 않는 것은 물론, 가계의 ‘디레버리징’(빚 상환)에도 많이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2020~2022년에 우리나라 가계의 금융자산과 부채가 동시에 크게 늘었는데, 이는 초과저축을 부채 상환에 적극 활용하지 않았다는 의미”라며 “금리 상승으로 부채상환 유인이 커졌는데도 우리 가계의 디레버리징 흐름은 주요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딘 모습”이라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가계 초과저축은 소비 충격 시 완충 역할을 하지만 주택 등 자산시장으로 유입될 가능성도 상존한다”며 “최근 집값 상승 기대가 높아지는 가운데 가계대출 확대와 함께 가계 디레버리징 지연 등으로 이어진다면 초과저축이 금융안정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박순빈 선임기자
sbpar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