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월24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가계부채 종합대책을 발표하고 있는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백소아 기자 thanks@hani.co.kr
올들어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비율 증가 폭이 둔화하긴 했지만, 세계 주요 43개국 가운데선 중국 다음으로 증가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국제결제은행(BIS)이 43개국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보면, 올 6월 말 기준 우리나라의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3.8%로 지난해 말보다 1.0%포인트 높아졌다. 이 조사에서 가계부채 비율은 국제결제은행의 자체 기준에 따라 계산된 터라, 한국은행의 가계신용 등을 바탕으로 한 통계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 한국의 가계부채 비율 증가 폭은 2012년엔 1.1%포인트, 2013년 1.5%포인트, 2014년 1.9%포인트로 조금씩 커지다가 2015년과 2016년에 각각 3.9%포인트와 4.7%포인트로 크게 뛰어올랐다. 올 하반기에도 상반기와 비슷한 속도로 가계부채 비율이 상승한다고 가정하더라도, 연간 기준 상승 폭은 2015년 이전 수준에 머무를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조사 대상 43개국의 올 상반기 가계부채 비율 상승 폭을 보면, 중국(2.4%포인트)에 이어 한국이 두 번째로 컸다. 스위스와 룩셈부르크가 각각 0.9%포인트로 뒤를 이었고, 프랑스와 홍콩도 각각 0.8%포인트로 비교적 조사 대상 국가 가운데 가계부채 비율 상승 폭이 큰 나라로 분류됐다. 국제결제은행은 가계부채가 장기적으로 경제성장에 마이너스 요인이 되는 한계선을 지디피 대비 80~100%선으로 추정한다. 안나 차바이 국제결제은행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펴낸 ’가계부채 : 최근 전개와 도전’이란 보고서에서 “가계부채 비율이 일정 수준 이상 높아지면 소비 침체로 이어져, 경기 안정성을 훼손하고 금융 불안정성도 확대될 수 있다”며 “특히 가계부채가 부동산과 같은 비유동자산에 집중돼 있을 경우 이런 위험은 더 커진다”고 경고했다.
김경락 기자
sp96@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