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금융·증권

“금융회사, 가계 대출 더 늘리려면 자본 더 쌓아야”

등록 2018-01-21 15:24수정 2018-01-21 19:16

은행 등 금융회사 자본규제 전면 개편

고위험 가계대출에 위험 가중치 조정
예대율 규제도 손질
경기대응 완충자본 규제 새로 도입
김용범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지난 19일 ‘자본규제 등 개편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금융은 실물 경제 곳곳에 막힘 없이 자금을 공급해 경제의 역동성에 기여해야 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8월 발족한 이 태스크포스는 이날 그간의 논의를 마무리한 뒤 은행권의 자기자본규제와 예대율 규제 개편 방안 등을 확정했다.  제공 : 금융위원회
김용범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지난 19일 ‘자본규제 등 개편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금융은 실물 경제 곳곳에 막힘 없이 자금을 공급해 경제의 역동성에 기여해야 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8월 발족한 이 태스크포스는 이날 그간의 논의를 마무리한 뒤 은행권의 자기자본규제와 예대율 규제 개편 방안 등을 확정했다. 제공 : 금융위원회
금융당국이 가계와 부동산에 쏠린 자금 흐름을 바꾸기 위해 금융권 자본 규제를 전면 개편한다. 가계대출이나 부동산 대출에 자금을 빌려 줄 때 금융기관들이 자본을 좀더 쌓도록해 대출에 부담을 늘리는 방식이다. 이런 방식은 가계 대출을 억제하는 효과는 가져올 수 있지만, 이를 통해 정부가 기대하는 생산적 부문으로의 자금 이동이 얼마나 나타날지는 미지수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은 21일 ‘생산적 금융을 위한 자본 규제 등 개편 방안’을 발표했다. 핵심은 가장 큰 자금줄인 은행의 자본 규제 개편이다. 우선 이르면 다음달부터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 계산에서 분모에 들어가는 ‘위험가중자산’을 구할 때 담보인정비율(LTV)이 60%가 넘는 주택담보대출 자산의 위험가중치를 현재보다 최대 2배로 높인다. 이렇게 되면 은행은 해당 자산을 줄이거나 자본을 더 쌓아야 한다. 시중은행들은 비아이에스비율이 규정상 8%가 넘어야 하고 10%는 넘어야 시장에서 ‘건강한 은행’으로 분류된다. 금융위는 위험가중치 조정에 따라 은행들의 평균 비아이에스비율이 0.14%포인트 준다고 밝혔다.

‘경기대응 완충자본’이란 새로운 자본 규제도 도입된다. 금융위가 가계부채 증가속도나 경제상황 등을 고려해 주기적으로 ‘적립 비율’을 결정하면 은행들이 가계대출 비중에 따라 자본을 추가 적립토록 하는 제도다. 이 규제에 ‘경기대응’이란 수식어가 붙은 데서 보듯이 금융위는 경기 회복세에 가계대출이 크게 늘어날 경우 적립 비율을 높여갈 방침이다. 이 규제는 은행들의 준비 여건 등을 고려해 내년부터 시작된다.

오는 7월부터 ‘예대율 규제’도 바뀐다. 현재는 기업 대출이나 가계 대출 모두 그 성격과 무관하게 대출 총액이 예금(원화) 총액을 넘지 못하도록 규제(예대율 100%)하고 있다. 이번에 가계 대출에 좀더 높은 가중치를 두기로 했다. 이렇게 되면 은행들마다 대출 자산 총액과 예수금 총액이 같더라도 가계 대출 비중이 크면 예대율은 올라가게 돼 규제 비율을 넘어설 수 있다. 이런 은행들은 가계 대출을 줄이거나 예금을 좀더 확보해야 한다.

금융위는 보험권이나 저축은행, 상호금융조합 등 제2금융권에도 은행권의 자본규제와 비슷한 효과를 낼 수 있도록 규제를 손볼 예정이다. 금융위는 이런 방식으로 5년 안에 가계대출 규모가 최대 40조원 정도 줄어들 수 있다고 내다봤다.

자료 : 금융위원회 (※ 그래픽을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자본 규제 개편은 가계의 주택담보대출로 상징되는 비생산적인 분야로 쏠려가는 자금의 물줄기를 기업 쪽으로 방향을 돌리기 위해서다. 실제 한국은행의 자금순환표를 보면, 2012~2016년 ‘가계 및 비영리 단체’ 부채의 연평균 증가율은 7.9%로 민간 기업의 부채 증가율(4.4%)을 크게 웃돌고 있다.

김용범 금융위 부위원장은 “금융이 실물 경제의 역동성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자금 중개의 유인체계가 효과적으로 작동해야 한다”며 “이번 자본 규제 개편방안은 금융의 ‘생산적 자금중개 기능’을 정책으로 구체화했다는 데 매우 의미가 크다”고 자평했다.

정부의 이런 구상이 기대 효과를 달성할지는 현재로선 미지수다. 자금이 기업보다는 가계로 더 많이 흘러간 데는 자본 규제가 가계 대출에 더 유리하게 설계돼 있어서라기보다는 부동산이 여타 투자보다 더 높은 수익률을 보인 터라 가계의 자금 수요는 큰 반면, 기업들은 경기 불확실성 등으로 상대적으로 자금 수요가 적거나 증권시장과 같은 직접금융시장이 발달했고 기업 내부에 쌓아둔 유보금이 많은 터라 금융회사에서 돈을 빌릴 이유가 적었기 때문이다.

김경락 기자 sp96@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트럼프 “OPEC에 유가 인하 요청”…국제유가 1% 하락 1.

트럼프 “OPEC에 유가 인하 요청”…국제유가 1% 하락

오픈AI, 첫 인공지능 비서 ‘오퍼레이터’ 공개 2.

오픈AI, 첫 인공지능 비서 ‘오퍼레이터’ 공개

첫 상장 ‘미트박스’ -25%…올해도 공모주 뒤통수 맞나? 3.

첫 상장 ‘미트박스’ -25%…올해도 공모주 뒤통수 맞나?

공기청정기 비정품 필터에서 살생물 물질 검출…환경부, 8개 제품 회수명령 4.

공기청정기 비정품 필터에서 살생물 물질 검출…환경부, 8개 제품 회수명령

사흘 만에 ‘트럼프 밈코인’ 한국 상륙…“실체 없고 팬덤으로 투자” 5.

사흘 만에 ‘트럼프 밈코인’ 한국 상륙…“실체 없고 팬덤으로 투자”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