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지난 연말부터 검찰, 청와대 등 권력기관 퇴직자들을 잇달아 채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 카카오의 문어발식 사업 확장과 골목상권 침해 논란이 불거지는 가운데 당국 제재 등에 대비한 ‘전관’ 영입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27일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이 인사혁신처에서 받은 ‘최근 5년간 카카오 및 계열사에 취업한 공직자 현황’ 자료를 보면, 카카오 본사는 지난해 12월 경찰청 소속 6급 퇴직자를 채용한 데 이어, 올해 7월 서울중앙지검 부장검사 출신 인사를 이에스지(ESG) 리스크관리 총괄로 영입했다. 계열사 중에서는 카카오스페이스가 지난해 12월 청와대 대통령경호처 4급 출신을, 지난달 카카오페이가 금융감독원 3급 퇴직자를 뽑는 등 카카오는 지난 연말부터 총 4명의 공직 출신을 영입했다. 반면 지난 2016년 1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는 카카오에 재취업한 공직자 출신이 한 명도 없었다.
이 중 경찰과 청와대 출신은 퇴직 후 업무 관련성에 대한 심사 없이 ‘임의 취업’한 것으로 밝혀졌다. 공직자윤리법 등은 공무원이 퇴직 후 3년간 사기업 등에 재취업할 경우 심사를 거쳐 ‘공직 기간 업무와 관련성이 없다’는 점을 확인 받도록 하고 있지만, 이들은 이를 지키지 않은 것이다. 공직자윤리위원회는 관할 법원에 이들에 대한 과태료 부과를 요청했다.
김상훈 의원은 “카카오가 공직자 출신들을 임의 취업 시키면서까지 시급히 데려간 것은 최근 제기되는 문어발식 확장, 독과점 문제 등에 대한 대처를 강화하기 위해서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천호성 기자
rieux@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