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인공지능(AI) 기술 기반 검색 시스템인 ‘에어 서치’(AiRSearch)를 선보인다. 검색어마다 모든 이용자에게 같은 결과가 노출되던 방식에서 벗어나, 검색 의도나 관심사에 따라 ‘맞춤형 결과’를 보여주겠다는 의도다.
네이버는 28일 ‘새로운 검색 사용성을 위한 네이버 검색의 방향성’을 주제로 온라인 기자 간담회를 열고 인공지능 중심의 검색 브랜드인 에어 서치를 소개했다. 에어 서치는 한 검색어에 대해서도 검색자의 취향이나 기존 검색 패턴, 연령 등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보여준다. 검색 결과는 기존처럼 이미지·동영상·쇼핑·뉴스 등 정해진 콘텐츠 분류에 따라 노출되는 것이 아닌, 사용자 관심도를 반영한 콘텐츠 뭉치인 ‘스마트 블록’ 형태로 제공된다. 네이버는 올 연말까지 전체 검색 결과의 10∼15%에 이런 방식을 적용할 방침이다.
김상범 네이버 책임리더는 “예를 들어 ‘캠핑’을 검색하면 사용자의 연령 등에 따라 관심사가 높을 만한 순서대로 △캠핑 준비물 리스트 △초보 캠핑 △감성캠핑 등 주제별로 다양한 스마트블록을 볼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더 탐색하고 싶은 주제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고 빠르게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네이버는 이런 검색 시스템을 도입한 배경으로 이용자들의 검색 트렌드 변화를 들었다. 예전에는 ‘크루아상 칼로리’ ‘맹장염 초기 증상’ ‘창원시 버스요금’처럼 하나의 정답을 찾는 검색이 많았다면, 최근에는 ‘바다낚시’ ‘캠핑’ ‘손세차’처럼 같은 낱말이라도 상황마다 다양한 검색 의도를 깔고 있는 ‘탐색형 검색’ 비중이 65% 정도로 늘었다는 것이다.
최재호 네이버 책임리더는 “네이버가 기존의 통합검색 방식을 통해 다른 검색 서비스와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해왔듯, 이제는 에어 서치로 이용자들에게 더욱 새로운 검색 경험을 선사하겠다”고 밝혔다.
천호성 기자
rieux@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