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인공지능(AI) 윤리를 사회적으로 확산하고 민간 자율규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논의의 장을 열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8일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와 함께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제2차 윤리정책 포럼을 열었다. 인공지능 윤리정책 포럼은 인공지능을 윤리적으로 개발하고 활용하기 위한 논의를 촉진한다는 목표로 지난 2월 출범했다. 산업계를 비롯해 인공지능, 윤리, 교육, 법·제도, 공공 등 각 분야 전문가 30명이 포럼 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이번 포럼에서는 인공지능 챗봇 이루다 개발사 스캐터랩이 ‘AI 챗봇 윤리점검표’ 개발 추진 현황을 발표했다. 이 기업은 현재 시범 운영 중인 ‘이루다 2.0’의 주요 개선사항과 함께, 자체 마련한 윤리점검표 초안을 공유했다. 앞서 스캐터랩은 지난해 이루다 서비스가 개인정보 유출 및 성소수자·특정 인종 등에 대한 혐오 표현으로 논란을 빚자 서비스 운영을 잠정 중단했다가 지난 3월 이루다 2.0의 오픈 베타 서비스를 다시 내놨다.
이날 포럼에선 이와 함께 인공지능 윤리·기술·교육 등 분과가 그동안 논의해 온 유네스코 인공지능 윤리 권고, 민간 인공지능 신뢰성 확보 방안, 인공지능 윤리교육 현황 등을 공유했다.
박윤규 과기정통부 2차관은 “국민 모두가 인공지능 산업 발전 혜택을 고루 누리기 위해서는 인공지능에 대한 신뢰 확보가 중요하다”며 “생태계 참여 구성원 모두가 적극적이고 주체적인 자세로 관심을 기울이고 의견을 낼 수 있도록 포럼 등을 통해 양방향 소통을 강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윤리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마련해 가겠다”고 말했다.
정인선 기자
r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