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전통시장 소상공인들이 카카오톡 채널을 활용해 단골 고객을 관리하고 오프라인 고객을 유치할 수 있도록 돕는다.
카카오는 소상공인의 디지털 소통을 돕는 ‘소신상인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카카오임팩트, 온라인 지식 교육 플랫폼 엠케이와이유(MKYU), 서울 양천구 신영시장 상인회와 4자간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22일 밝혔다. 카카오는 오는 7월부터 신영시장을 ‘시험장’ 삼아 전통시장 디지털 전환 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앞서 카카오는 지난해 계열사들의 ‘문어발식’ 사업 확장과 골목상권 침해 논란을 겪은 뒤, 지난 4월 ‘카카오 공동체 상생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당시 카카오는 소상공인과 지역 파트너를 대상으로 5년간 총 1000억원의 상생기금을 집행하겠다고 밝혔다. 카카오는 “이번 프로젝트는 올초 마련한 상생 방안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카카오와 카카오임팩트는 신영시장 내 상인들의 디지털 전환에 필요한 자원을 지원한다. 교육과 마케팅, 홍보 등도 돕는다. 카카오톡 채널을 기반으로 모바일 소통을 활성화해 시장 내 점포들이 단골 고객을 확보하고 오프라인 방문을 유도하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카카오는 카카오톡 채널을 새로 만든 상인들을 대상으로 카카오톡 채널 웰컴키트, 단골 고객 채널 추가 시 지급하는 쿠폰 비용, 채널 메시지 발송을 위한 무상 캐시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카카오톡 채널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상인들을 위해 점포로 직접 찾아가 활용법 교육도 해준다. 게임 형태의 교육 콘텐츠로 카카오톡 채널 사용법을 쉽게 익히도록 하고, 시장 안에 교육 전용 공간 ‘톡채널 라운지’를 운영하고 여기에 ‘디지털 튜터’도 파견한다. 튜터는 약 두 달간 라운지에 머무르며 카카오톡 채널 개설 및 활용 방법을 알려준다. 이후에도 상인들이 튜터와 실시간으로 소통할 수 있도록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을 열 계획이다. 교육 콘텐츠 기획·제작과 디지털 튜터 관리·운영 등은 스피치 강사 김미경씨가 만든 온라인 지식 교육 플랫폼 엠케이와이유가 맡는다.
카카오는 이를 신영시장에서 시범 진행한 뒤 오는 9월 전국 전통시장을 대상으로 공모를 받을 계획이다. 추가로 열 곳을 선정해 11월부터 소신상인 프로젝트 첫 시즌을 본격 운영한다.
홍은택 카카오 이에스지(ESG, 환경·사회·지배구조) 총괄은 “전통시장의 디지털 전환을 도와 소상공인들이 새로운 판로를 개척하고 자생력과 경쟁력을 높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정인선 기자
r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