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IT

수도권에 몰린 데이터센터 ‘전기’ 고리로 지역분산 유도

등록 2023-01-18 11:00수정 2023-01-19 02:48

산업부, 비수도권 데이터센터 부담금·요금 감면
데이터센터 60% 수도권에 몰려
네이버 데이터센터 내부 모습. 네이버 제공
네이버 데이터센터 내부 모습. 네이버 제공
정부가 비수도권에 자리잡는 데이터센터에 대해선 배전망 연결(22.9kV) 때 들어가는 케이블·개폐기 시설 부담금을 50% 할인해주기로 했다. 또 송전망 연결(154kV) 때 예비전력 요금 면제 혜택도 제공한다. 수도권에 60%가량 몰려 있는 데이터센터를 여러 지역으로 흩어놓기 위한 방안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8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전력 남서울본부에서 한전·지방자치단체와 함께 ‘데이터센터 지역분산 정책 설명회’를 열어 이런 내용을 포함한 수도권 집중 완화 방안을 내놨다. 지난해 11월 지역분산 간담회를 통해 논의한 방안을 놓고 지자체와 전문가 및 관련 업계의 의견을 수렴해 추가로 마련한 내용이다.

이날 밝힌 시설부담금 50% 할인, 예비전력 요금 면제 혜택은 올해 6월부터 2026년 5월까지 한시적으로 제공한 뒤 수요 분산 효과를 분석해 기간 연장 및 할인 규모 확대를 검토하기로 했다. 예비전력이란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한 전력 유지관리 기준으로 전기를 가장 많이 쓰는 꼭짓점 시기에, 최대 공급량에서 수요를 채우고 남는 전력량을 뜻한다.

천영길 산업부 에너지정책실장은 이날 설명회에서 “데이터센터는 디지털 경제의 핵심이나, 수도권 집중이 심화됨에 따라 송·배전망 등 전력 인프라(기반) 추가 건설의 부담을 키우고, 계통 혼잡을 일으킬 수 있는 상황”이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산업부에 따르면, 지난해 9월 기준 국내 운영 중인 147개 데이터센터 중 수도권에 자리 잡은 곳은 60%인 88곳에 이른다. 전력 수요로 따진 수도권 비중은 70%에 이른다. 이 비율이 2029년쯤엔 80%대로 높아질 것으로 산업부는 내다보고 있다. ‘전기사용예정통지’ 제도를 통해 한전에 접수된 신규 데이터센터 수요가 2029년까지 수도권 550개를 포함해 637개(전력 수요 4만1467MW)에 이르는 것에 바탕을 두고 있다.

데이터센터는 서버 컴퓨터와 네트워크 회선 등을 제공하는 건물이나 시설을 일컫는다. 지능정보화기본법에선 ‘다수의 초연결지능정보통신기반을 일정한 공간에 집적시켜 통합 운영·관리하는 시설’로 정의하고 있다. 연중 24시간 서버·스토리지 가동, 내부 항온·항습 유지 등을 위해 전기를 많이 쓰는 대표 시설로 꼽힌다. 데이터센터 1개당 연간 전력사용량은 평균 25GWh로, 4인 가구 6천세대 수준에 맞먹는다.

산업부는 이날 방안에서 대규모 전력 소비 데이터센터에 대해 계통 신뢰도 및 품질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예외적으로 전기공급을 유예하거나 거부할 수 있는 권한을 한전에 부여하는 쪽으로 ‘전력계통 신뢰도 및 전기품질 유지 기준’과 ‘전기사업법 시행령’을 개정하기로 했다. 또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제정 때 계통영향평가 제도를 도입하기로 했다. 수도권 등 계통포화 지역 신규 데이터센터의 계통 파급효과를 평가해 부정적인 효과를 최소화하는 계획을 마련하도록 하고 이행 상황을 점검·보완하게 하는 내용이다.

김영배 선임기자 kimyb@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이복현 “최상목 대행에 ‘윤 대통령 체포’ 부담 적절치 않아” 1.

이복현 “최상목 대행에 ‘윤 대통령 체포’ 부담 적절치 않아”

CJ, 티빙·웨이브 합병 속도전…KT·SBS가 변수 2.

CJ, 티빙·웨이브 합병 속도전…KT·SBS가 변수

주 7일 배송, 중국 이커머스 공세…쿠팡 견제바람 세진다 3.

주 7일 배송, 중국 이커머스 공세…쿠팡 견제바람 세진다

10년 만의 단통법 폐지됐지만…보조금 경쟁 ‘뜨뜻미지근’ 이유는? 4.

10년 만의 단통법 폐지됐지만…보조금 경쟁 ‘뜨뜻미지근’ 이유는?

매일 2740원, 매일 2025원…각양각색 ‘소액 적금’ 유행 5.

매일 2740원, 매일 2025원…각양각색 ‘소액 적금’ 유행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