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빅테크 업계의 ‘양대산맥’으로 꼽히는 네이버와 카카오의 1분기(1~3월) 영업실적이 크게 엇갈렸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카카오의 영업이익은 반토막난 데 비해 네이버는 오히려 늘었다. 두 기업의 1분기 성적표가 엇갈린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네이버는 8일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2조2804억원, 3305억원이라고 공시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견줘, 매출은 23.6%, 영업이익은 9.5% 늘었다. 모두 시장 예측을 소폭 웃돈 수준이다. 앞서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는 네이버의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에 대한 증권사들의 전망 컨센서스를 각각 2조2774억원, 3220억원이라고 제시한 바 있다. 네이버 주가는 이날 호실적에 힘입어 5% 넘게 치솟았다.
네이버 실적은 지난 4일 발표된 카카오 실적과 대비된다. 카카오는 올 1분기에 1조7403억원의 매출을 올려 711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고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견줘 매출은 5% 늘었으나, 영업이익은 반토막(55% 감소)난 수준이다. 영업이익률은 4.1%로, 지난해 동기 대비 5.5%포인트 하락했다.
사업 부문별로 보면 이런 차이는 좀 더 자세히 드러난다. 우선 포털 사업에서 두 회사의 희비가 극명하게 갈렸다. 네이버와 다음(카카오)은 2000년대 들어 국내에서 ‘양대 포털’로 꼽혔지만, 네이버가 포털을 중심으로 서비스를 확장해온 것과 달리, 2014년 다음을 인수한 카카오는 성장 동력을 포털이 아닌 카카오톡에서 찾는 전략을 폈다. 급기야 카카오는 ‘경쟁력이 떨어지는 사업은 정리한다’는 방침에 따라 다음 포털을 사내독립기업(CIC)으로 분리하기로 최근 결정했다. 실제 네이버 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서치플랫폼’의 매출은 1분기 경기 둔화 상황에서도 전년 동기 대비 0.2% 증가한 8518억원을 기록했다. 검색광고 매출도 5.3% 증가했다. 반면 카카오 ‘포털비즈’ 분야 매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27% 줄었다.
인수 기업의 실적 반영 여부 영향도 컸다. 지난 1월5일 네이버에 인수돼 1분기부터 연결기준 실적에 반영된 미국 포시마크의 이커머스 부문 매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45.5% 증가한 6059억원에 이른다. 네이버는 “미국 온라인 중고마켓 시장이 역성장 중인 것과 대조적으로 포시마크는 견조한 매출 성장세를 보였다”고 밝혔다. 반면 최근 하이브와 격전 끝에 인수한 에스엠엔터테인먼트 실적은 2분기부터 카카오 연결기준 실적에 반영될 예정이다.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빅테크 기업의 가장 큰 비용 부담으로 떠오른 인프라 투자도 두 업체 실적을 엇갈리게 했다. 네이버는 데이터센터와 인공지능 등에 대한 투자를 오래전부터 꾸준히 해왔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이날 컨퍼런스콜에서 “인공지능과 관련해 2017년부터 꾸준히 기술 투자를 진행해오고 있다”고 밝혔다. 김남선 네이버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새 데이터센터 ‘각 세종’이나 스마트 사옥 ‘1784’ 같은 대규모 건축 프로젝트도 완료돼, 인공지능 투자 수요가 늘어남에도 인프라 비용이 매출의 7% 내외인 수준을 앞으로도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지난해 10월 서비스 먹통 사태를 경험한 카카오는 대응 방안으로 데이터센터 건립과 인공지능 클라우드 확충 등에 박차를 가하면서 관련 비용이 커지고 있는 추세다. 배재현 카카오 투자총괄대표는 지난 4일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올해 인공지능과 데이터센터 등 공격적인 투자가 정점에 오르며 영업손실이 3천억원까지 발생할 수 있다. 그중 80% 이상이 인공지능과 관련된 클라우드 비용”이라고 밝혔다.
임지선 기자
sun21@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