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IT

“구글 비밀주의에 도전”…메타, 언어AI ‘라마2’ 설계도 공개

등록 2023-07-20 14:39수정 2023-07-20 14:56

누구나 연구뿐 아니라 ‘상업 목적’으로도 활용 가능
페이스북 운영 기업 메타. 로이터 연합뉴스
페이스북 운영 기업 메타. 로이터 연합뉴스

누리소통망(SNS) 서비스 페이스북을 운영하는 메타가 올 초 선보인 인공지능(AI) 초거대 언어모델(LLM) ‘라마’(Llama) 새 버전의 설계도를 공개했다. 개인 개발자나 기업들이 라마를 연구 목적뿐 아니라 상업 목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초거대 언어모델 관련 기술의 세부 사항을 비밀에 부치는 오픈에이아이(OpenAI)·구글 등과 상반된 행보라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메타는 차세대 초거대 언어모델 ‘라마2’를 제3자가 연구 및 상업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오픈소스(개방형 접근) 형태로 공개한다고 20일 밝혔다. 메타 쪽은 “개방형 접근 방식을 통해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안전한 개발을 도모하겠다”고 설명했다.

앞서 메타는 올 초 연구원들을 대상으로 초거대 언어모델 ‘라마’의 설계도를 공개했다. 메타는 “라마 출시 뒤 연구원들로부터 받은 접근 요청은 7월 현재 누적 10만건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메타에 따르면, 라마2는 라마에 견줘 40% 더 많은 2조개 토큰(말뭉치 데이터)을 학습했다. 하나의 언어모델이 처리할 수 있는 토큰의 양을 뜻하는 컨텍스트 길이 역시 라마에 비해 2배가량 길다. 메타는 “컨텍스트 길이가 길수록 언어모델이 더 많은 정보와 맥락을 이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라마2는 70억개, 130억개, 700억개 등 파라미터(매개변수) 규모에 따라 3가지 모델로 출시됐다. 메타 관계자는 “경량화된 모델이 필요한 경우에는 매개변수가 작은 버전을 선택하는 등, 개발자들이 각자 필요한 조건에 따라 모델을 골라 쓸 수 있다”고 말했다.

라마2는 제3자가 연구 목적뿐 아니라 상업 목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오픈에이아이(OpenAI)와 구글 등 경쟁 기업 것과 차별점을 갖는다. 메타는 우선 마이크로소프트(MS) 클라우드 플랫폼 ‘애저’에 라마2를 제공하기로 했다. 엘지(LG)·아마존·퀄컴 등과 협력도 예고했다. 반면, 오픈에이아이는 지난 3월 선보인 최신 언어모델 지피티(GPT)4의 설계도(소스코드)를 공개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매개변수 규모와 학습 데이터 양 같은 기술 관련 정보도 비밀에 부치고 있다.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메타는 오래 전부터 인프라 및 인공지능 작업물들을 오픈소스화해 왔다. 이를 통해 우리는 산업 전반의 발전을 주도하며 더 나은 제품을 만들 수 있었다. 소프트웨어를 오픈소스로 공개할 경우 더 많은 개발자들이 이를 세심하게 살펴 잠재적인 문제를 찾아내 고칠 수 있어, 안전성과 보안성을 높이는 데에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메타가 올 초 선보인 초거대 언어모델 ‘라마’의 새 버전을 19일(현지시각) 오픈소스로 공개했다. 라마 공식 블로그 갈무리
메타가 올 초 선보인 초거대 언어모델 ‘라마’의 새 버전을 19일(현지시각) 오픈소스로 공개했다. 라마 공식 블로그 갈무리

업계에선 뒤늦게 초거대 언어모델을 공개한 메타가 오픈소스 전략을 통해 생태계 내 영향력을 빠르게 넓혀 가려는 전략이란 분석이 나온다. <로이터>는 이날 “라마만큼 정교한 모델을 기업들이 널리 사용할 수 있도록 무료 개방함으로써 오픈에이아이 같은 선수들이 생성형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초기 시장에서 구축한 선점 효과를 (메타가) 위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일각에선 기술 성숙도가 충분히 올라오지 않은 상태에서 섣불리 언어모델을 오픈소스화할 경우, 가짜 정보 범람과 혐오 발언 생성 등 부작용을 겪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오픈에이아이는 2015년 설립 당시 “인공지능 기술을 특정 기업이 독점해선 안 된다”며 기술을 오픈소스로 공개하기로 했다가 최근 철회했다.

한편, 그동안 인공지능 개발에 소극적인 것으로 알려졌던 애플도 자체 초거대 언어모델을 개발 중이다. <블룸버그>는 19일(현지시각) 익명 관계자 말을 인용해, 애플이 자체 인공지능 초거대 언어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에이잭스’라는 이름의 조직을 출범하고, ‘애플 지피티’라는 이름의 챗봇 서비스를 만들었다고 보도했다.

정인선 기자 re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상·하위 10% 가계 소득 격차 첫 2억 넘겨…국민도 기업도 양극화 1.

상·하위 10% 가계 소득 격차 첫 2억 넘겨…국민도 기업도 양극화

매일 2740원, 매일 2025원…각양각색 ‘소액 적금’ 유행 2.

매일 2740원, 매일 2025원…각양각색 ‘소액 적금’ 유행

공정위 “KG그룹, 하도급 현금성 결제 비율 가장 낮아” 3.

공정위 “KG그룹, 하도급 현금성 결제 비율 가장 낮아”

CJ, 티빙·웨이브 합병 속도전…KT·SBS가 변수 4.

CJ, 티빙·웨이브 합병 속도전…KT·SBS가 변수

참사 후속 조처…제주항공 “3월 말까지 국내·국제선 1116편 감편” 5.

참사 후속 조처…제주항공 “3월 말까지 국내·국제선 1116편 감편”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