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에 실리는 각종 언론매체 뉴스 기사의 과도한 ‘어뷰징’ 및 상업성에 대한 비판이 일고 있는 가운데 네이버와 다음이 포털 뉴스서비스 제공 여부에 대한 판단·심사를 독립적인 외부기관에 맡기기로 했다.
국내 양대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와 다음카카오는 28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공동으로 기자회견을 열어 ‘공개형 뉴스제휴 평가위원회’를 제안했다. 그동안 종이신문 및 인터넷언론 등 각종 언론매체와의 뉴스서비스 제공여부를 두 회사가 자체적으로 심사·판단하고 결정했으나 앞으로는 이 기능을 언론계가 주도하는 독립적인 외부 기관에 맡기겠다는 뜻이다. 이를 통해 두 회사는 무리한 광고를 협박·요구하는 사이비 언론 행위, 과도한 어뷰징 등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두 회사는 언론계 주요 인사들과 언론 유관기관들이 모여 독립적인 뉴스제휴 평가위원회를 구성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평가위원회는 뉴스 제휴 신규매체에 대한 심사, 기존 제휴 언론사의 계약해지 여부에 대한 판단, 과도한 어뷰징 기사 및 사이비 언론 행위 규제기준을 마련하게 될 것이라고 두 회사는 밝혔다.
두 회사는 “네이버와 다음카카오가 이용자와 언론사들을 연결하는 플랫폼 역할을 해왔으나, 최근에 포털이 자율적으로 진행해온 뉴스제휴 심사기능과 관련해 공적·사회적 책임을 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며 “뉴스 제휴신청에서 탈락되거나 계약이 연장되지 않는 언론사는 평가가 공정하지도 투명하지도 않다고 비판하고 있고, 기업에서는 일부 매체의 경우 검색제휴가 통과되고나면 악의적 기사를 작성해 광고비를 요구한다면서 포털에 언론사와의 계약해지를 포함한 특단의 대책을 촉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학계에서도 기사반복 재전송, 동일키워드 반복 등 ‘어뷰징’성 기사가 증가하면서 기사 질이 떨어지고 저널리즘이 죽어가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고 두 회사는 이번 평가위원회 제안의 배경을 설명했다.
네이버와 다음카카오는 “그동안 자체역량으로 이러한 복잡한 이슈를 해결하려고 시도했지만 최선의 방법을 찾기 어려웠다”며 “양사는 제휴평가도 언론의 공적인 특성에 준하여 논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해 언론계에 ‘공개형 뉴스제휴 평가위원회’ 구성을 의뢰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문화체육관광부에 간행물로 등록된 매체는 인터넷신문사 6천개를 포함한 1만8천개다. 이 중 1천개(중복 매체는 1개로 계산)가 다음카카오 및 네이버와 제휴를 맺고 있다. 양사가 언론사에 뉴스정보제공료를 제공하는 제휴 매체는 모두 140개(중복 매체는 1개로 계산) 매체다. 두 회사는 새 평가위원회 출범 시까지 각자 운영해오던 뉴스제휴 관련 프로세스는 잠정 중단할 예정이다.
임지선 기자
sun21@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