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9일부터는 식당·카페 같은 다중이용시설 이용 시 연락처를 수기로 남길 때 전화번호 대신 개인안심번호를 사용할 수 있다. 수기로 작성된 전화번호가 유출돼 악용되는 상황이 차단돼 허위 기재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전화번호 유출에 따른 사생활 침해를 차단하기 위해 19일부터 개인안심번호를 쓸 수 있게 하기로 했다고 18일 밝혔다. 개인안심번호는 ‘12가34나’처럼 숫자 4자와 한글 2자 등 총 6자로 구성된 고유번호이며, 네이버·카카오·패스의 디지털무늬(QR)체크인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번 발급받은 개인안심번호는 코로나19 종식 때까지 쓴다. 개인안심번호는 코로나19 방역 활동에 필요할 때만 전화번호 환원돼 활용된다.
이날부터 다중이용시설 이용 때는 디지털무늬체크인을 하거나, 수기 장부에 개인안심번호나 전화번호를 남기면 된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그동안 다중이용시설 수기명부에 전화번호를 기재하게 하다 보니, 코로나19 방역 목적이 아닌 사적 목적으로 악용하는 사례가 발생해 국민 불안이 가중되면서 허위로 작성되기도 했다”며 “개인안심번호를 활용하면 전화번호 유출 및 오·남용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전화번호 유출 우려에 따른 허위 기재 감소 등으로 보다 정확한 역학조사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개인안심번호는 정부-시민사회-민간기업의 협업을 통해 탄생했다. ‘코드포코리아(codefor.kr)’란 이름으로 뭉친 시빅해커 7명이 개인안심번호 개발을 위한 아이디어와 기술력을 기부했고, 디지털무늬코드 발급기관들이 디지털무늬체크인 화면 노출을 지원했다. 시빅해킹이란 정보통신기술 개발자 등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모여 사회·공공문제를 정보통신기술과 데이터를 활용해 창의적이고 신속하게 해결하려는 활동을 말한다.
김재섭 선임기자
js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