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라운드X NFT, 언체인 CBDC 방점
‘컨센서스 2021’ 한국 세션에선 카카오와 라인 등 국내 대표 모바일 메신저 기업의 블록체인 대중화 전략도 소개됐다. 카카오와 라인의 블록체인 계열사인 그라운드엑스(X), 언체인은 자체 블록체인 ‘클레이튼'과 ‘라인 블록체인'을 만들었다. 두 회사 모두 자사 블록체인 위에 여러 서비스를 한창 쌓아올리는 중이다.
그라운드엑스는 대체불가능토큰(NFT·엔에프티) 서비스 개발에 적극적이다. 주로 외부 기업과 협업 중이다. 비상장 주식 거래증서, 연예인 포토 카드, 모바일 쿠폰 등을 엔에프티로 만든 게 대표 사례다. 최근에는 세계 최대 엔에프티 거래 사이트 ‘오픈시'와 업무 협약을 맺어, 클레이튼 위에서 발행된 엔에프티를 오픈시에서 사고팔 수 있게 될 전망이다. 그라운드엑스는 이용자가 복잡한 절차 없이 쉽게 엔에프티를 발행하는 툴 ‘크래프터스페이스'를 이날 행사에서 처음 공개했다.
한재선 그라운드엑스 대표는 “이더리움의 엔에프티 생태계 규모가 물론 더 크지만, 클레이튼에서는 매우 적은 수수료로 엔에프티 발행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엔에프티와 디파이(DeFi·탈중앙화금융)를 결합한 서비스도 외부 스타트업과 함께 모색 중”이라고 덧붙였다.
라인은 여러 국가 중앙은행이 디지털화폐(CBDC·시비디시)를 출시하려는 움직임에 맞춰 시비디시 발행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라인은 지난해 한국은행이 진행한 시비디시 컨설팅 사업에 참여해 기술 자문을 제공하기도 했다.
이홍규 언체인 대표 겸 라인 블록체인랩 총괄은 “많은 중앙은행이 보안성과 확장성, 익명성 등 요건을 모두 갖춘 시비디시를 만들고 싶어 하지만, 대부분의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은 이 셋을 동시에 달성하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라인페이, 라인뱅크 등 소비자용 금융 서비스와 암호화폐 링크(LINK)를 운영한 경험을 바탕으로 세 요건 모두를 만족시키는 시비디시 발행 플랫폼을 만들겠다”고 했다.
정인선 코인데스크코리아 기자 ren@coindeskkorea.com

한재선 그라운드X 대표가 컨센서스 2021에서 발표하고 있다. 코인데스크코리아

이홍규 라인 블록체인 랩 총괄 겸 언체인 대표가 컨센서스 2021에서 발표하고 있다. 코인데스크코리아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