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9일 오전 대전 유성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본원에서 연구원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연합뉴스
“백신 개발 연구진이 감염되면 회사가 일시 ‘셧다운’되는 문제에 그치지 않잖아요. 코로나19 차단이 그만큼 늦어진다는 무거운 책임감을 느낍니다.”
백신 개발업체인 에스케이(SK)바이오사이언스 관계자는 2일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코로나19 백신 연구인력들의 감염 차단 대책을 ‘비상상황’이란 말로 설명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3단계에 준하는 수준으로 격상된 가운데 이 회사에서도 일반 직원들은 절반씩 순환 재택근무를 하고 있다. 하지만 이 회사처럼 코로나19 백신 개발의 최전선에 있는 연구진들의 처지는 다르다. 실험·분석 장비가 모두 연구소에 있는데다, 후보물질을 만드는 전 임상이 끝나더라도 1~3상 단계 시료생산과 결과분석 등 재택근무로 해결할 수 없는 일이 대부분이다. 특히 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는 지난달 21일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범정부 지원위원회’로부터 백신 개발 임상시험 지원대상 기업 8곳 가운데 하나로 선정된 상태다. 회사 관계자는 “정부가 코로나19 임상에 필요한 비용과 절차를 지원하는 의미를 알고 있다”며 “세부내용을 공개하기 어렵지만, 정부 기준을 훌쩍 넘는 엄격한 방역수칙을 적용하면서 백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업체들도 상황이 비슷하다. 바이오의약품기업 셀트리온의 경우, 코로나19 항체를 이용한 치료제 후보물질 ‘CT-P59’ 개발이 임상 1상 막바지 단계에 와있다. 이 회사 역시 코로나19가 재확산한 지난달 26일부터 전체 직원을 3개 조로 나눠 재택근무를 시행 중이지만, 연구진은 대상에서 제외됐다. 셀트리온 쪽은 ”실험장비를 이용해야 하는 개발 분야는 재택근무에서 불가피하게 제외했다”며 “치료제 개발 일정이 급박하게 돌아가는 점도 고려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국립보건연구원과 함께 코로나19 혈장치료제 후보물질 ‘GC5131’을 개발 중인 지씨(GC)녹십자 역시 제재 생산공장으로 코로나가 퍼지는 걸 막기 위해 총력전 태세다. 혈장치료제는 코로나19 치료제 가운데 비교적 안정성이 검증됐고, 코로나19 중증환자를 위한 제재 상용화가 올해 안에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회사는 이미 임상 2상에 돌입해 충북 오창 공장에서 임상환자 60명에 대한 투여분을 생산했다. 녹십자 쪽은 “고령·중증환자 치료에 필요한 제재 생산공장 인력을 줄이거나 재택근무하는 건 불가능한 상황이라, 강력한 개인방역을 지속적으로 당부하고 있다”고 말했다.
홍석재 기자
forchis@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