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국제산업물류도시 조감도. 이미지/산업부 제공
전기차 관련 제품을 생상하는 전북 군산형일자리와 부산형 일자리를 ‘상생형 지역일자리’로 선정됐다. 정부는 두 지역에 전기차 산업생태계 조성과 지역 인재 채용 확대 기회를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5일 서울청사와 세종청사, 전북도, 부산시 등이 영상회의를 통해 개최한 ‘3차 상생형 지역일자리 심의위원회’에서 전북 군산형일자리와 부산형일자리를 각각 상생형지역일자리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상생형지역일자리는 지역경제에 투자가 감소하고, 일자리가 줄어드는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정부와 노·사·민이 함께 양질의 일자리를 만드는 사업이다.
이번에 전북 군산은 전기차, 부산은 전기차 구동유닛 생산사업으로 상생형지역일자리에 선정됐다. 전북 군산형 일자리는 현재 5개 자동차 부품 유휴 공장과 실직 상태인 숙련노동자를 활용해 전기차 생산 클러스터를 만든다는 계획이다. 부산형 일자리는 독일 완성차업체 베엠베(BMW)와 전략적 제휴 등을 통해 전기차 구동유닛 핵심 기술을 확보하고, 지역주민 우선 채용 등에 나서기로 했다. 군산형 일자리는 1년차 평균연봉이 4천여만원, 부산형은 일반직 4천만원(연구개발직 6천만원) 선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 3년간 두 사업은 전북형이 투자금액 3528억원과 신규고용 1106명 창출, 부산형이 2523억원 투자와 370명 고용창출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군산형 일자리는 유휴 생산설비와 숙련노동자를 활용한 전기완성차 클러스터로 조성돼 군산의 극적인 재도약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며 “부산형 일자리 역시 독자적 전기차 핵심부품 기술력을 확보해 미래차 산업 발전을 주도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홍석재 기자
forchis@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