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부동산

청약열기 타고 고급 주상복합 다시 꿈틀

등록 2009-11-10 20:23

이달 말부터 역세권을 중심으로 주상복합아파트 물량이 쏟아진다. 사진은 서울역 맞은편에 들어설 ‘센트레빌 아스테리움 서울’.  동부건설 제공
이달 말부터 역세권을 중심으로 주상복합아파트 물량이 쏟아진다. 사진은 서울역 맞은편에 들어설 ‘센트레빌 아스테리움 서울’. 동부건설 제공
서울역·용산·강남 등 역세권 물량 쏟아져
일산에 국내 최대 규모 주상복합도 눈길
최근 수십 대 1의 경쟁률이 예사인 서울 지역 아파트 청약 열기에 힘입은 것일까? 고급 아파트의 대명사로 불리는 ‘주상복합아파트’가 올 연말 드디어 움직이기 시작한다. 주상복합아파트는 최고 60층을 넘나드는 초고층 건물과 업무 및 상업시설을 두루 갖춘 편리한 주거 여건, 고급 마감재 사용 등으로 인기를 누려왔지만, 비싼 분양값 탓에 금융위기 이후 한동안 움츠러든 모습이었다. 하지만 이달 말부터는 서울역, 용산, 마포, 강남, 경기도 고양시 등 주상복합아파트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역세권을 중심으로 물량이 쏟아진다. 2004년 7조4000억원의 자금을 끌어모으며 청약 광풍을 일으켰던 용산 시티파크의 신화를 재현할 수 있을지 눈과 귀가 모이고 있다.

■ 일대를 싹 바꾼다… 매머드급 랜드마크 올 연말 분양되는 주상복합아파트의 공통점은 저마다 ‘미래 가치’에 승부를 건 단지들이라는 데 있다. 현재 입지가 좋을뿐더러 주상복합아파트가 도시계획과 맞물려 돌아가는 만큼 그 일대가 대대적인 변신에 들어갈 예정이기 때문이다.

서울역 맞은편 용산구 동자동 4구역에 들어서는 ‘센트레빌 아스테리움 서울’이 대표적이다. 서울역은 서울의 중심에 있지만 그동안 개발의 중심축에서 소외돼 왔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서울시와 한국철도공사가 일대 개발 계획을 발표하면서 서울역 일대는 ‘리모델링’에 들어간다. 서울역 북쪽으로 40층 높이의 국제컨벤션센터가 들어서고, 동자동 일대는 도시환경정비구역과 재정비 촉진지구로 지정돼 개발된다. 동부건설은 아파트, 오피스, 오피스텔 등 복합단지로 조성되는 아스테리움을 서울역 개발 계획과 연계해 프랑스 파리의 라데팡스와 같이 ‘도심복합기능도시’로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아파트는 공급면적 159~304㎡ 278가구 가운데 206가구, 오피스텔은 125~271㎡ 78실 가운데 3실이 일반분양된다. 지하 9층, 지상 27~35층 4개 동이 건립되고, 오피스 빌딩을 제외한 3동은 120m의 다리로 연결된다. 이달 말에 본보기집을 열 예정이다.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탄현동에는 국내 최대 규모의 주상복합아파트가 들어선다. 두산건설은 지하 5층, 지상 51~59층 8개 동의 ‘일산 두산위브더제니스’ 2772가구를 11월에 일반분양한다. 공급면적 79~228㎡로 이뤄졌으며, 일산지역에서 최초로 공급되는 대규모 주상복합아파트다. 일산지역에서 희소성이 큰 중대형이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성공적으로 분양될 경우 일산에서 새로운 ‘부촌’이 만들어질 수 있다. 경의선 복선전철 탄현역과 다리로 바로 연결된 초역세권으로 경의선 급행열차를 이용하면 서울역까지 32분 안에 도착할 수 있다. 두산건설 관계자는 “도곡동의 타워팰리스, 목동의 하이페리온에 이어 수도권 3대 랜드마크 주상복합단지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수도권 분양 예정인 주상복합아파트
수도권 분양 예정인 주상복합아파트
■ 인천 청라와 송도 주상복합도 인기 끌까 2009년 분양시장을 주도했던 택지개발지구에서도 12월부터 주상복합아파트가 분양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호반건설은 판교새도시 C1-1블록에 공급면적 134㎡ 단일형으로 178가구를 분양한다. 판교새도시 내에서는 처음으로 분양되는 주상복합아파트다. 신분당선 판교역이 걸어서 5분 거리에 있다.

인천에서는 올 상반기 분양의 핵이었던 청라지구와 송도국제도시에서 주상복합아파트가 나온다. 우미건설은 청라지구 M2블록에 지하 1층~지상 42층 4개 동 590가구의 아파트와 지하 1층~지상 42층 450실의 오피스텔 1개 동을 분양한다. 공급면적 135~185㎡다. 오피스텔은 전용 60㎡ 이하로 전 가구 바닥난방이 가능하다. 대우건설은 송도국제도시 5공구 Rm1블록에 공급면적 116~231㎡ 주상복합아파트를 공급한다. 45층 13개 동 1739가구 규모로 매머드급이다. 10여 개의 외국대학교가 들어설 송도글로벌캠퍼스단지 안에 자리잡고 있다.

이처럼 수도권 전체에서 한꺼번에 주상복합아파트가 쏟아진 데 대해 전문가들은 크게 두 가지 이유를 꼽는다. 현재 국회 상황으로 보아 분양가상한제가 언제 폐지될지 알 수 없고, 신규 분양시장이 살아나고 있는 상황에서 마냥 분양 시기를 미룰 수는 없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건설업계에서는 그동안 주상복합아파트는 벽식 구조로 짓는 일반아파트와 달리 철골조로 지어 원가가 많이 든다며 분양가상한제 아래에서 분양하기 힘들다는 자세였다. 부동산정보업체 스피드뱅크 이미영 분양팀장은 “분양가상한제 폐지 여부를 알 수 없는데다 내년 2월11일에 양도세 감면이 종료되면서 건설사들이 분양을 서두르고 있다”고 말했다.

황춘화 기자 sflowe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3조원 비과세 배당’ 우리금융 주가 급등…감액 배당이 뭐죠? 1.

‘3조원 비과세 배당’ 우리금융 주가 급등…감액 배당이 뭐죠?

90살까지 실손보험 가입 가능해진다…110살까지 보장 2.

90살까지 실손보험 가입 가능해진다…110살까지 보장

3월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 출범…주식거래 어떻게 운영되나 3.

3월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 출범…주식거래 어떻게 운영되나

한국 대기업, 북미 매출 20%↑…의존도 따라 관세 타격도 커질 듯 4.

한국 대기업, 북미 매출 20%↑…의존도 따라 관세 타격도 커질 듯

‘줍줍’하던 무순위 청약, 무주택자만…거주지 요건은 탄력적으로 5.

‘줍줍’하던 무순위 청약, 무주택자만…거주지 요건은 탄력적으로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