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부동산

은마아파트 미풍 그쳐…썰렁한 서울 재건축시장

등록 2010-03-07 18:14수정 2010-03-07 18:46

서울 강남구 대치 은마아파트의 조건부 재건축 허용 소식으로 주목을 받았던 서울 재건축 시장은 전주에 이어 계속 내림세를 이어갔다. 서울 아파트값도 2주 연속 하락했다. 새도시와 수도권 전세시장은 하락한 곳 없이 상대적인 강세를 보였지만, 서울은 거래와 가격 움직임이 둔해지는 분위기다.

7일 부동산 정보업체인 부동산114의 조사자료를 보면, 지난 한 주(2.27~3.5) 서울 재건축아파트 매매값은 -0.15% 변동률을 보여 4주 연속 내림세다. 송파(-0.36%), 강남(-0.19%), 서초(-0.13%)로 재건축 하락폭은 더 커졌다. 은마아파트가 조건부 재건축판정을 받은 뒤 간혹 문의는 있지만 거래는 이뤄지지 않았다. 오히려 호재라고 여긴 일부 매도 예정자들이 매물을 내놓고 있다. 수요자 입장에서 투자심리보다 가격 불안에 대한 우려가 더 컸고, 단기간 추가 상승이 쉽지 않을 거라는 전망이 우세했기 때문으로 부동산114는 분석했다.

서울 매매시장은 주간변동률 -0.02%로 2월 마지막주에 이어 하락했고, 새도시와 수도권도 거래를 찾아보기 힘들었다. 새도시는 0.02% 내렸고, 수도권은 보합세였다. 서울 매매시장은 3월 첫째주 주간변동률이 오른 구가 단 한 곳도 없었다. 수도권은 싼 매물 중심으로만 거래가 간간히 이뤄졌다. 광명(0.17%), 안산(0.09%),부천(0.02%) 등이 소폭 올랐다.

서울 전세시장도 주간변동률 0.03%로 상승세가 한풀 꺾였다. 하지만 서대문, 동작, 노원 등 비강남권은 국지적 오름세를 보였다. 신혼부부 등 소형 실수요가 거래를 이어갔고 대학가 주변의 임대가격 상승도 찾아볼 수 있었다. 서대문구의 홍제동과 홍은동의 전셋값이 올랐는데, 재개발 이주완료를 앞두고 소형 전세 찾기가 쉽지 않다. 동작구는 인근 대학가 임대수요로 인해 상도동, 신대방동 등의 전셋값이 올랐다.

새도시는 0.08%, 수도권은 0.07%로 서울보다 전셋값 상승폭이 커졌다. 경기 남부지역과 분당 등 주요시장에서는 전세를 구하지 못한 수요가 주변으로 움직이면서 가격 상승이 확산됐다.

황춘화 기자sflowe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3조원 비과세 배당’ 우리금융 주가 급등…감액 배당이 뭐죠? 1.

‘3조원 비과세 배당’ 우리금융 주가 급등…감액 배당이 뭐죠?

90살까지 실손보험 가입 가능해진다…110살까지 보장 2.

90살까지 실손보험 가입 가능해진다…110살까지 보장

3월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 출범…주식거래 어떻게 운영되나 3.

3월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 출범…주식거래 어떻게 운영되나

한국 대기업, 북미 매출 20%↑…의존도 따라 관세 타격도 커질 듯 4.

한국 대기업, 북미 매출 20%↑…의존도 따라 관세 타격도 커질 듯

‘줍줍’하던 무순위 청약, 무주택자만…거주지 요건은 탄력적으로 5.

‘줍줍’하던 무순위 청약, 무주택자만…거주지 요건은 탄력적으로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