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중기·스타트업

박영선 장관 “일본 보복 확대 가정하에 대책 검토 중”

등록 2019-07-08 16:26수정 2019-07-08 20:32

취임 100일 앞두고 기자간담회 열어
향후 정책 과제로 데이터센터 구축 꼽아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8일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중기부 제공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8일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중기부 제공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최근 일본의 무역보복과 관련해 “확대될 수도 있다는 가정하에 (대응책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취임 100일을 앞두고 향후 주요 정책 과제로 ‘중소·벤처기업을 위한 데이터센터 건립’을 꼽았다.

박 장관은 8일 오후 서울 여의도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취임 100일을 앞둔 소회와 향후 계획을 설명하며 이같이 밝혔다. 박 장관은 일본의 무역보복과 관련해 “부품소재 독립선언을 할 수 있는 주인공은 소재개발에 집중하는 중소벤처기업”이라며 “우리 부가 자체적으로 (대응을) 검토하더라도 산업통상자원부와 공조, 대·중소기업 공조 등 튼튼한 연대를 구성해야 하지 않을까 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100대 수출품목으로 (보복이) 확대될 수도 있다는 가정에 따라 검토작업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 장관은 향후 정책 과제로 “중소기업들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AI) 제조혁신 서비스를 위해 데이터센터 같은 국가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며 “그동안 스마트공장 보급에 힘써왔다면, 이제는 인공지능 미래 공장을 위해 콘텐츠를 채워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박 장관은 “인공지능과 클라우드를 접목해서 얻을 수 있는 건 예측능력”이라며 “중소기업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까진 할 수 있지만, 분석부터는 운영비가 너무 많이 나와 중소기업의 고충이 됐다. 국가가 플랫폼을 만들어 중소기업에서 자유롭게 (데이터를) 활용하고 분석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기부 안에 인공지능 등 육성산업과 관련한 조직을 신설할 계획이라고도 덧붙였다.

‘데이터 주권론’의 관점에서 클라우드 산업을 키워야 한다는 주장도 했다. 박 장관은 “우리의 모든 정보를 아마존이나 구글에 다 저장하고 있는데, 데이터는 미래 권력이라는 시각으로 들여다봐야 한다”며 “대한민국의 데이터 생산은 세계 5위다. 계속 다른 나라에 의존하면서 종속되는 것에 대한 사회적 검토가 필요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신민정 기자 shin@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혹평에도 93개국 1위 한 ‘오겜 2’…K-미디어의 가능성은? 1.

혹평에도 93개국 1위 한 ‘오겜 2’…K-미디어의 가능성은?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2.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위기의 롯데그룹…내수·외국인 관광객에 명운 달렸다 3.

위기의 롯데그룹…내수·외국인 관광객에 명운 달렸다

마지막 ‘줍줍’…세종 무순위 아파트 3가구 120만명 몰렸다 4.

마지막 ‘줍줍’…세종 무순위 아파트 3가구 120만명 몰렸다

슬금슬금 엔화 강세…20개월 만에 100엔당 950원 넘어 5.

슬금슬금 엔화 강세…20개월 만에 100엔당 950원 넘어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