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서울 영등포구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중소벤처기업부와 금융권 ‘자상한 기업’들이 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중소벤처기업부 제공
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 대출에 참여해 온 은행들이 현장의 혼선을 막기 위해 대출 심사시 나이스평가정보의 신용등급을 적극 반영하기로 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9일 서울 영등포구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금융권 ‘자상한 기업’(자발적 상생협력기업)들과 코로나 19로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하는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금융권 자상한 기업은 신한은행, 국민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등 4곳이다.
이들 은행은 현재 시행 중인 소상공인 이차보전 대출 심사 시 나이스평가정보의 신용등급을 적극 반영하기로 했다. 이들은 정부가 지난 27일 내놓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소상공인 금융지원 신속집행 방안’에 따라 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들에게 지난 1일부터 1.5% 금리로 대출을 공급해왔다. 하지만 그간 신용등급 적용 과정에서 은행별로 기준이 달라 나이스평가정보에서 1~3등급이라도 일부 은행에서 더 까다로운 기준이 적용돼 대출이 거절되는 등 현장에서 혼선이 있었다. 또 신속한 자금 집행을 위해 은행별로 소상공인 전용 창구를 확대하고 관련 업무 경력이 있는 직원 배치를 늘리기로 했다.
이외에도 은행별로 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에 대한 새로운 지원방안도 발표했다. 하나은행은 중소·소상공인 경영안정자금 한도를 기존 4000억원에서 최대 1조원 규모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국민은행은 금융컨설팅센터의 금융 컨설팅 건수를 연간 3000건에서 7200건으로 확대해 소상공인의 경영안정을 지원하기로 했고, 우리은행은 소상공인 창업 및 금융상담 종합지원센터를 기존 5곳에서 9곳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김윤주 기자 ky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