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까지…스마트상점 10만개 보급 등 소상공인 디지털화 지원
정부가 무선결제, 가상현실(VR) 지도 등을 도입한 디지털 전통시장을 2025년까지 500곳 조성하는 등 소상공인의 디지털화를 지원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17일 제16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 겸 제3차 한국판 뉴딜 관계장관회의에서 이같은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방안은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을 지원하고, 비대면·디지털 전환에 대응하는 소상공인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마련됐다.
우선 대면 판매 중심인 전통시장에 온라인 배달, 무선결제, 가상현실 지도 등 디지털 기술을 도입한 디지털 전통시장을 2025년까지 500곳 조성한다. 외식업, 카페, 미용실 등에 사물인터넷(IoT), 증강현실(AR), 인공지능(AI) 등을 적용해 경영과 서비스 혁신을 지원하는 스마트 상점은 같은 기간 10만개 보급한다. 수작업 위주 생산공정에 자동화 기기 등을 도입하는 스마트 공방도 같은 기간 1만개 보급한다. 하나의 상권에 디지털 전통시장, 스마트상점·슈퍼, 스마트공방 등을 한꺼번에 지원하는 디지털 상권르네상스 사업은 2022년까지 3곳 선정한다.
아울러 2025년까지 중장년층 등 디지털 취약계층 5만명에게 현장실습 교육을 실시하고, 디지털 활용도가 낮은 과밀업종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하는 디지털 활용 교육 프로그램도 마련할 계획이다. 디지털 교육과 체험, 실습이 가능한 디지털 교육장을 현재 1곳에서 2022년까지 8곳으로 늘리고 소상공인 온라인전용 교육 채널도 신설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400억원 규모의 상생협력 기금을 조성해 소상공인에게 키오스크, 디지털 결제 단말기 등을 보급할 계획이다. 또 내년부터 소상공인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해 예상 매출액, 고객 분석, 업종별 유망 상권 추천 등 정보를 제공한다. 간편결제 확산을 위해 내년까지 100만개 이상 간편결제 인프라를 지원하고, 온라인 쇼핑몰과 배달애플리케이션 수수료 인하도 추진한다. 소상공인 디지털화 정책자금 3000억원, 스마트 장비 구입자금 1000억원, 스마트 기술 보유 기업에 대한 특례보증 2000억원 등도 지원한다.
박영선 중기부 장관은 “소상공인의 디지털 격차 해소 등을 통해 골목상인도 글로벌 소상공인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김윤주 기자 kyj@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