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내외 주가지수가 급락하면서 투자 원금을 까먹은 주식형 펀드가 절반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자산운용협회의 전자공시를 보면, 설정액 100억원 이상인 공모 주식형 펀드 596개 가운데 순자산총액이 설정액을 밑도는 펀드(17일 기준)는 모두 322개로 전체의 54%를 차지했다. 설정액은 펀드 투자자가 운용사에 맡긴 투자원금이며, 순자산 총액은 펀드의 현재 가치로 설정액에 운용수익을 더한 것이다. 따라서 수익이 생겼다면 순자산 총액은 설정액을 웃도는 것이 정상이지만, 주가 급락으로 단기 손실폭이 커지면서 설정액을 밑도는 펀드가 많아진 것이다.
투자 원금을 까먹은 주식형 펀드 322개 가운데 173개(54%)가 국내 주식형 펀드이고, 나머지 149개(46%)는 국외 주식형 펀드다. 특히, 지난해 말 주가가 고점을 찍을 무렵 자금이 크게 몰렸던 인기 펀드들의 경우 원금 손실 규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주식형 펀드 가운데 최대 규모인 ‘한국삼성그룹적립식주식1ClassA’는 순자산 총액(2조9304억원)이 설정액(3조7655억원)을 22% 이상 밑돌고 있으며, ‘미래에셋디스커버리주식형3ClassA’, ‘봉쥬르차이나주식1’ 등도 순자산 총액과 설정액이 10~20% 가량 역전된 상태다. 이계웅 굿모닝신한증권 펀드리서치팀장은 “펀드도 투자이기 때문에 언제든지 손실이 날 수 있다”며 “올해는 기대수익률을 낮추고 철저한 분산투자로 위험관리에 치중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양선아 기자 anmada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