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증권

종목발굴 애쓰는 펀드가 되레 돈 못번다?

등록 2011-01-23 20:50수정 2011-01-24 09:00

액티브펀드 1년 수익률 25.54%<인덱스펀드 26.05%
일반주식형 상하위 편차 커…인덱스형은 ‘평준화’
코스피200 지수를 따라 운용하는 인덱스펀드가 일반주식형(액티브) 펀드에 비해 수익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적극적으로 종목을 발굴하는 펀드보다 수동적으로 시장 추이를 따르는 펀드가 더 유리하다는 얘기다.

■ 인덱스펀드가 평균수익률 높아 21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이 집계한 자료를 보면, 일반주식형 펀드의 수익률(20일 현재)은 1년 기준 25.54%, 2년 90.06%, 3년 29.76%, 5년 73.02%였다. 반면 코스피200 지수를 따르는 케이(K)200인덱스 펀드는 1년 26.05%, 2년 90.61%, 3년 32.70%, 5년 75.02%로 모든 구간에서 일반주식형보다 높았다.

일반주식형 펀드의 경우 시장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을 이유로 인덱스펀드보다 수수료를 더 높게 받는다는 점을 생각하면 투자자로서는 이래저래 인덱스펀드가 유리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일반주식형, 중소형주식형, 배당주식형 등 액티브펀드는 일반적으로 1.8%, 인덱스펀드는 1%의 수수료를 판매보수와 운용보수 명목으로 받고 있다. 그런데도 우리나라 투자자들은 인덱스펀드보다 일반주식형 펀드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다.

■ 인덱스펀드보다 수익률 높은 일반주식형 펀드들 그렇다고 모든 액티브펀드가 인덱스펀드보다 못한 건 아니다. 시가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은 중소형주에 50% 이상을 투자하는 중소형주식형펀드의 경우 1년 30.54%, 2년 101.04%, 3년 36.33%, 5년 61.21%로 5년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구간에서 인덱스펀드보다 수익률이 높았다.

액티브펀드 가운데 인덱스펀드의 평균 수익률을 앞서는 펀드는, 기간별로 1년 110개, 3년 91개, 5년 53개였다. 다만 인덱스펀드의 평균 수익률에 미치지 못하는 펀드가 더 많았기 때문에 전체 평균이 낮아진 것으로 해석하면 된다.

1년 수익률의 경우 현대자산운용의 ‘현대그룹플러스1[주식][A]’가 54.13%의 수익률로 일반주식형 평균치보다 두배가량 높았으며, 우리자산운용의 ‘우리부울경우량기업플러스1[주식]A1’이 2.49%로 가장 낮았다. 3년 수익률의 경우 마이애셋자산운용의 ‘마이트리플스타[주식]클래스A’가 116.66%로 가장 높았고, 아이비케이(IBK)자산운용의 ‘아이비케이그랑프리포커스금융[주식]’이 2.68%로 가장 낮았다. 5년 수익률은 마이애셋의 ‘마이트리플스타[주식]클래스A’가 195.28%로 가장 높았고, 한국투자신탁운용의 ‘한국투자거꾸로2[주식](C1)’이 35.53%로 가장 낮았다.

■ 인덱스펀드는 수익률 편차 적어 인덱스펀드의 경우에도 평균 수익률에 미치지 못하는 펀드가 많았지만, 상대적인 편차가 작은 점이 액티브펀드와 달랐다. 1년 수익률의 경우 1위인 ‘교보악사콜인덱스[주식]클래스A1’(31.58%)과 꼴찌인 ‘현대스마트세미-액티브인덱스[주식]C-F2’(20.88%)의 차이는 10.7%포인트에 불과했다. 3년 수익률은 1위와 꼴찌의 차이가 24.93%포인트, 5년 수익률의 1위와 꼴찌 차이는 26.84%포인트로 기간이 늘어날수록 차이가 커졌지만, 액티브펀드보다는 진폭이 훨씬 작았다. 인덱스펀드가 액티브펀드보다 변동성이 작다는 장점을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이재성 기자 s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대규모 세수결손 없을 것”이라더니…2년 연속 수십조 결손 1.

“대규모 세수결손 없을 것”이라더니…2년 연속 수십조 결손

한국 철강에 ‘트럼프발 관세전쟁’ 회오리 2.

한국 철강에 ‘트럼프발 관세전쟁’ 회오리

세수 예측 실패, 20조원은 집행도 못했다 3.

세수 예측 실패, 20조원은 집행도 못했다

금융시장의 ‘최후 보루’ 중앙은행…내란 이후 한은 총재의 결정 4.

금융시장의 ‘최후 보루’ 중앙은행…내란 이후 한은 총재의 결정

미국 증시 ‘고평가론’ 확산…M7 비틀대고 관세전쟁 먹구름 5.

미국 증시 ‘고평가론’ 확산…M7 비틀대고 관세전쟁 먹구름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