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실리 네벤쟈 유엔 주재 러시아대사가 5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다룬 안전보장이사회 회의장에서 고개를 숙이고 있다. 이 회의에서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러시아군의 민간인 학살을 규탄하고 러시아의 안보리 상임이사국 지위 박탈을 요구하는 화상연설을 했다. 뉴욕/로이터 연합뉴스
우크라이나 민간인 학살로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자격 정지 위기에 몰린 러시아가 유엔 회원국들을 상대로 ‘반러시아 표결’을 하지 말라는 압박에 나섰다.
<로이터> 통신은 주유엔 러시아대표부가 인권이사국 자격 정지 여부를 결정하는 7일(현지시각) 유엔총회 표결을 앞두고 회원국들에게 “반러시아 결의에 반대한다는 뜻”을 밝히라고 종용하고 있다고 6일 보도했다.
러시아대표부가 다른 국가 대표부들에 보낸 메모에는 “그런 계획을 지지하는 것뿐 아니라 투표에서 등거리를 유지(기권 또는 불참)하는 것도 비우호적 행동으로 간주될 것”이라는 경고가 포함돼 있다. 자국과의 관계 발전 문제에 투표 태도가 영향을 줄 것이라는 문구도 써 있다. <로이터>는 얼마나 많은 국가가 메모를 받았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했다. 주유엔 미국대표부의 오리비아 돌턴 대변인은 “뻔뻔하고 공개적인 위협은 러시아의 인권이사국 지위를 즉각 정지시킬 필요성을 강화해준다”고 말했다.
미국의 발의로 진행되는 표결은 193개 회원국들 중 기권을 제외하고 3분의 2 이상이 찬성하면 안건이 가결된다. 지난달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규탄하거나 즉각 휴전을 촉구하는 유엔 긴급특별총회 결의안 2건이 각각 140개국 이상의 찬성으로 가결됐기 때문에 이번에도 가결 전망이 상당하다는 예상이 나온다. 가결 때는 다른 46개국과 함께 3년 임기 인권이사국으로 있는 러시아의 자격이 정지된다.
유엔총회는 심각하고 조직적인 인권침해를 이유로 인권이사국 자격을 정지시킬 수 있는데, 2011년에는 시위 폭력 진압을 이유로 리비아가 자격을 정지당했다.
한편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은 이날 러시아를 주요 20개국(G20) 모임에서도 내쫓아야 한다며, 주요 20개국 행사에 러시아 관리가 온다면 미국은 불참하겠다고 밝혔다. 옐런 장관은 하원 금융위원회에 출석해 “조 바이든 대통령은 러시아를 평상시처럼 대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고, 나는 전적으로 동의한다”며 이렇게 밝혔다. 그는 올해 주요 20개국 정상회의 의장국인 인도네시아에 “러시아가 온다면 여러 회의에 참석하지 않을 것”이라는 뜻을 밝혔다고 말했다. 인도네시아는 올해 7월에 주요 20개국 재무장관회의에 이어 11월에 정상회의를 개최한다.
하지만 미국 재무부는 이 발언이 러시아가 참석한다면 미국이 주요 20개국 행사에 전면적으로 불참할 것처럼 받아들여지자 곧 해명을 내놨다. 옐런 장관 발언은 이달 20일에 워싱턴에서 열리는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 총회의 부대 행사로 열리는 주요 20개국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 회의를 뜻한 것이라고 했다. 이 행사에는 러시아의 불참이 예상되고 있다.
워싱턴/이본영 특파원
eb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