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30일 메모리얼데이를 맞아 알링턴 국립묘지의 무명용사 묘에서 헌화하고 있다. 알링턴/AP 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애초 긍정적으로 검토되는 것으로 알려졌던 장거리 다연장로켓을 우크라이나에 제공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30일(현지시각) 기자들에게 “러시아까지 타격할 수 있는 로켓 시스템을 우크라이나에 보내지 않겠다”고 말했다. 앞서 <시엔엔>(CNN)과 <워싱턴 포스트>는 행정부 관리들을 인용해, 이번주에 우크라이나에 대한 장거리 다연장로켓 제공 방침이 발표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애초 방침이 바뀌었는지 또는 보도가 부정확했던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바이든 대통령의 발언은 러시아를 지나치게 자극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분명히 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앞서 미국은 전투기를 달라는 우크라이나 정부의 요청에 대해 전투기는 러시아 영토에 대한 공격이 가능한 무기라는 이유로 거부 의사를 밝혔다.
우크라이나 정부가 요청한 미국의 다연장로켓 시스템은 한꺼번에 여러 발의 로켓으로 300㎞ 거리의 표적을 타격할 수 있는 것이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현재 보유한 야포 사거리는 그 몇분의 1밖에 안돼 러시아군을 대적하기 어렵다고 호소해왔다. 양쪽이 치열하게 싸우는 돈바스 지방에서는 최근 러시아가 승기를 잡아가고 있다. 드미트로 쿨레바 우크라이나 외무장관은 지난 25일 스위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에서 장거리 다연장로켓이 간절히 필요하다고 말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의 보좌관 미하일로 포돌랴크는 트위터를 통해 “70㎞ 거리에서 가해지는 공격에 대해 반격할 수단이 없는 상태에서 싸우는 것은 어렵다”고 했다.
바이든 대통령의 입장에 대해 린지 그레이엄 공화당 상원의원은 “그런 무기를 안 보내는 것은 우크라이나와 민주주의에 대한 배신”이라며 “바이든 행정부는 러시아인들의 표현에 또 겁을 먹었다”고 말했다.
<아에프페>(AFP) 통신은 바이든 행정부가 대신 사거리가 짧은 다연장로켓을 우크라이나에 보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익명의 관리를 인용해 보도했다.
워싱턴/이본영 특파원
eb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