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미국 네브라스카주 오마하의 한 고등학교에서 열린 유세 현장에서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대선 후보가 지지자들을 향해 웃고 있다. 오마하/AP 연합뉴스
미국 공화당(7월18~21일)과 민주당(7월25일~28일)의 전당대회(전대) 이후 첫 실시된 대규모 여론조사들에서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후보가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를 최대 9%포인트가량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엔엔>(CNN)과 여론조사기간인 오아르시(ORC)가 지난 7월29∼31일 1003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1일(현지시각) 발표한 결과를 보면, 클린턴은 52%의 지지율을 얻어 43%에 그친 트럼프에 9%포인트 앞섰다. 두 기관이 공화당 전당대회 직후 실시한 여론조사와 비교하면 클린턴은 7%포인트 상승한 반면, 트럼프는 5%포인트 하락했다.
클린턴이 이처럼 선전을 보인 것은 공화당 전대가 테드 크루즈 상원의원의 지지 거부 등으로 다소 어수선했던 반면, 민주당 전대는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의 확실한 클린턴 지지, 버락 오바마 대통령 등 초호화 연사의 총출동 등으로 상대적으로 뛰어난 조직력과 기획력을 보여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전대 효과에 힘입어 클린턴의 정책이 미국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 것이라고 생각하는 미국인은 지난번 조사 때 43%에서 이번에는 48%로 올랐다. 이에 비해 트럼프의 정책에 대한 긍정적 평가는 40%에서 38%로 감소했다.
미국인들은 후보자들의 가족들이 차기 행정부에서 큰 역할을 하는 것에 대해선 부정적이었다. 응답자의 66%는 트럼프가 대선에서 승리해도 자녀들이 정책 문제와 관련해 역할을 해서는 안 된다고 응답했으며, 응답자의 57%도 클린턴 쪽의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이나 딸 첼시가 정책문제에 관여해서는 안 된다고 대답했다.
아울러, <시비에스>(CBS) 뉴스가 지난 7월29∼31일 등록 유권자 1131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1일 발표한 결과에서도 클린턴은 46%의 지지율을 기록해 39%를 기록한 트럼프를 7%포인트 앞섰다. 또한, 버니 샌더스 지지자 가운데 73%가 “클린턴에게 투표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민주당 전대 이후 샌더스 지지층이 클린턴 지지로 돌아선 것이 클린턴 지지율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볼 수 있는 대목이다.
워싱턴/이용인 특파원
yy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