앤드루 쿠오모 미국 뉴욕주 주지사. AFP 연합뉴스
성폭력 의혹으로 사임 압박을 받고 있는 민주당 소속 앤드루 쿠오모 뉴욕주 주지사의 측근이 뉴욕 지방자치단체장들에게 ‘충성 확인’ 전화를 돌려 논란이 일고 있다. 더욱이 이 측근은 뉴욕주 코로나19 백신 분배를 총괄하고 있어, 백신 분배와 정치적 문제를 뒤섞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워싱턴 포스트>는 뉴욕주 ‘백신 차르’로 불리는 래리 슈워츠가 최근 카운티의 장들을 포함한 당국자들에게 전화를 돌렸다고 14일 보도했다. 이름을 밝히지 않은 카운티 당국자들은 <워싱턴 포스트>에 “쿠오모를 계속 지지할 것인지를 알아보려는 듯 했다”고 말했다. 이들은 “슈워츠가 전화 통화에서 ‘주의 조사가 진행되도록 하자’고 강조했다”고도 덧붙였다.
쿠오모는 최근 비서 등에게 성희롱과 성추행을 일삼았다는 폭로가 나왔고, 현재까지 피해를 밝힌 여성이 7명으로 늘어났다. 뉴욕주 검찰은 한국계 미국인 변호사 준 김 등을 쿠오모 성폭력 의혹 수사 책임자로 지명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14일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이 사안과 관련해 “(검찰) 수사 결과를 기다려봐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슈워츠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쿠오모 주지사의 최고위 보좌관을 지냈고, 최근에는 뉴욕주 코로나19 분배 업무를 총괄하고 있다. <워싱턴 포스트>는 “쿠오모 주지사에 대한 지지 여부에 따라 카운티 백신 공급이 어려움에 부닥칠 수도 있다는 두려움을 느꼈으며, 뉴욕주 검찰에 문제를 제기했다”는 한 민주당 소속 카운티 장의 말을 전했다. <뉴욕 타임스> 역시 민주당 소속 카운티 장을 인용해 “슈워츠가 전화 통화에서 쿠오모 주지사가 처한 정치적 상황에 관해 이야기하다 백신 공급으로 대화 주제를 옮겼다”고 보도했다.
슈워츠는 14일 성명을 내어, “백신에 대한 모든 결정은 정치가 아니라 공공 보건에 따라 이뤄진다”며 “나는 결코 정치적 맥락에서 백신에 관해 토론한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한편, 쿠오모의 전기 작가 마이클 슈나이어슨은 지난 12일 연예 전문지 <배너티 페어> 기고문에서 쿠오모의 ‘배우자 학대’ 의혹을 제기했다. 쿠오모의 전 부인 케리 케네디는 존 에프(F) 케네디 전 대통령의 조카로, 학대받는 이들을 돕는 인권운동가다. 슈나이어슨은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케리는 그런 자신이 ‘쿠오모의 학대를 피해 화장실에서 문을 잠그고 잠을 잔 적도 있다’고 한탄했다”고 주장했다. 조기원 기자
gard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