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으로 10만여곳에 이른다는 상포테크놀로지 고객사 가운데는 중국 중앙정부 기관도 포함돼 있다. 누리집 갈무리
“귀사의 직원이 퇴사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중국 광둥성 선전에 본사를 둔 정보통신 업체 상포테크놀로지(중국명 ‘선신푸 커지’)가 고객사 직원의 온라인 활동을 본석해 ‘퇴사 의도’를 감지해내는 시스템을 개발·운용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15일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의 보도를 종합하면, 상포 쪽이 개발한 것은 고객사 직원들의 구직 전문 사이트 접속 내역과 전자우편을 이용한 구직 서류 제출 등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프로그램이다. 일종의 ‘퇴사 분석 시스템’이다. ‘퇴사’를 주제 삼아 전체 직원들의 온라인 움직임을 상시적으로 감시한다는 뜻이다.
이같은 사실은 중국의 ‘링크드인’ 격인 구직·채용 전문 소셜미디어 ‘마이마이’에 한 누리꾼이 경험담을 올리면서 알려졌다. 이 누리꾼은 “직장 상사가 ‘당신이 업무시간에 무슨 일을 하는지 정확하게 알고 있다’고 말했다”며, ‘퇴사 분석 시스템’ 내용이 담긴 사진을 올렸다.
신문은 특허 등록 정보업체 키차차의 자료 내용을 따 “상포 쪽은 지난 2018년 구직 사이트에 보내는 정보와 소셜 미디어에 올린 내용, 전자우편 시스템에 있는 정보 등을 종합해 고객사 직원들의 ‘퇴사 의도’를 분석해 내는 시스템에 대한 특허 출원을 했다”고 전했다. 키차차 쪽은 “해당 시스템은 구직 사이트에 접속하거나, 구직 관련 서류를 전송하는 등의 사무실에서 벌어지는 직원들의 온라인 움직임을 감시해 ‘퇴사 위험’을 평가하고 등급을 나눈다”고 전했다.
신문은 한 누리꾼이 지식 공유 플랫폼 ‘즈후’에 올린 글 내용을 따 “상포의 시스템은 회사 네트워크와 컴퓨터 상에서 이뤄지는 모든 온라인 행태를 추적한다. 이 시스템이 업무 행태를 점검하는 것인지, 개인적인 행동을 추적하는 것인지 구분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지난 2000년 설립한 상포는 자사 누리집을 통해 “클라우드 컴퓨팅과 네트워크 보안 전문업체”라고 소개하고 있다. 이 업체의 고객사는 약 10만여개에 이르며, 해관총서·국가세무총국·국무원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공상관리총국 등 중국 중앙정부 기관은 물론 각급 지방정부 기관도 고객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신문은 “상포의 고객사 가운데 현재 ‘퇴사 분석 시스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업체가 얼마나 되는지는 불분명하다”며 “업체 쪽은 해당 서비스의 활용 사례를 자세히 소개한 내용을 누리집에서 삭제했다”고 전했다.
베이징/정인환 특파원
inhw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