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전쟁 장기화 속에 중국의 2분기 경제성장률이 27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다만 6월 들어 산업생산과 소비 등이 눈에 띄게 개선돼, 중국 당국의 경기 부양책이 효과를 거두기 시작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15일 올해 2분기 중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전년동기대비 6.2%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지난 1분기 성장률(6.4%)에 견줘 0.2%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중국 경제당국이 분기별 경제지표를 발표하기 시작한 1992년 이후 최저치다. 중국 성장률은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에도 6.4% 아래로 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분기 성장률은 작년 1분기부터 4분기까지 각각 6.8%, 6.7%, 6.5%, 6.4%를 기록하며 계속 낮아졌다.
지난해 말까지만 해도, 전문가들은 중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추이를 ‘상저하고’로 전망했다. 상반기에 저점을 찍은 뒤, 하반기에 반등세로 돌아설 것이란 예상이었다. 외교 소식통은 “1분기 성장률이 우려와 달리 작년 4분기와 같은 6.4%로 집계되면서, 3~4월께 경기가 바닥을 친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기도 했다”며 “2분기 성장률은 최악은 아니더라도 분명 좋은 결과도 아니다”라고 짚었다.
앞서 중국 정부는 올해 경제성장 목표치를 지난해(6.5%)보다 낮은 6.0~6.5%로 낮춰 잡은 바 있다. 또 지난 3월엔 리커창 총리가 직접 나서 2조 위안 규모의 감세와 인프라 투자를 위한 2조1500위안 규모의 지방채 발행 등 대대적인 경기부양책을 제시했다. <로이터> 통신 등은 “2018년 이후 6차례 단행했던 지급준비율 추가 인하를 비롯해 경기부양 재정대책이 추가로 나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중 무역전쟁 격화로 수출과 수입이 동시에 위축되면서 경제성장률이 낮아졌지만, 6월 들어 각종 지표가 호조세로 돌아선 건 주목할 만 하다. 국가통계국 자료를 보면, 지난 5월 전년 동월대비 5% 증가했던 중국 산업생산은 6월 들어 6.3%로 증가폭을 키웠다. 같은 기간 소매판매 증가율도 전년 대비 8.6%에서 9.8%로 높아졌다. 고정자산 투자 역시 상반기에 5.8% 늘었다. 국영기업 성장률이 상반기에 5%에 그친 반면, 민간부문은 8.7%를 기록하며 경제성장을 주도한 것도 경기부양책 효과란 분석이 나온다.
베이징/정인환 특파원
inhw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