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미트로 세닉 우크라이나 외교차관이 7일 오후 서울 용산구 주한우크라이나 대사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러시아의 침공 관련 지도를 들어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우크라이나에 군사 원조를 하는 것이 인도적 지원이다.”
한국을 방문 중인 드미트로 세닉 우크라이나 외교차관은 7일 서울 용산구 주한 우크라이나대사관에서 한국 기자들을 만나 “우리는 무고한 사람들의 생명을 보호하는 것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며 이렇게 말했다. 세닉 차관은 ‘한국이 무기를 지원하기를 바라는지’를 묻는 기자에게 “우리는 우리의 친구들, 파트너 국가들에 지원을 요청하는 바이고 한국은 분명히 우리의 친구다”라고 했다. 그는 이날 간담회에서 러시아 정부가 우크라이나 영토를 침범한 상황을 짚으면서 “이 전쟁에서 이기기 위해서 우리는 방어적 무기, 공격적 무기 두 가지 모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세닉 차관은 이날 기자회견에 앞서 이도훈 외교부 2차관과 만나 우크라이나 상황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그는 ‘이 자리에서 한국의 무기 지원과 관련한 논의가 있었는지’를 묻는 기자에게 “우리(한국 정부와 우크라이나 정부)가 많은 문제에서 같은 의견이라는 데에 동의했다”면서도 한국이 무기 지원과 관련해 어떤 입장을 보였는지에 대해서는 분명한 답변을 하지 않았다. 다만 세닉 차관은 “우크라이나는 국제사회에 러시아의 공격으로부터 우리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는 무기들을 지원해 달라고 요청한다”며 “우리는 모두 이 전쟁이 가능한 한 빨리 끝나기를 원한다. 우리가 필요한 군사 장비들을 가능한 한 빠르게 얻을수록 전쟁은 빨리 끝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정부의 무기 요청에도 한국 정부가 ‘인도적 지원만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보이는 데 대해 세닉 차관은 “그러한 정책 (방향)이 바뀌길 기대한다”고 했다.
세닉 차관은 또 이도훈 2차관과의 면담에서 양국 정부가 우크라이나 정부의 전후 복구 계획에 관해서 이야기를 나눴다고 설명했다. 그는 ‘한국 정부가 우크라이나 원전 재건에 참여할 가능성’에 대해 “(면담에서) 그것에 대해서 자세하게 이야기를 하지는 않았지만, 우리는 한국 정부가 우크라이나의 전후 복구 계획에 참여하는 데에 관심이 있는지 논의했고 그에 대해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았다”고 했다.
세닉 차관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공격으로 수많은 민간인 사상자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과 관련해 “마리우폴에서 민간인 2만5000명이 러시아 공격으로 사망한 사실이 밝혀졌다”며 “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 점령 아래 희생된 민간인 수가 약 1만명”이라고 희생자 수를 비교했다. 다만 구체적인 사상자 통계에 대해서는 “불행히도 지금 정확하게 얼마나 많은 민간인 사상자가 나왔는지에 대해서 말하기 어렵지만 그 숫자는 어마어마하다”라며 “우리는 (러시아가 점령한 지역을) 다시 특정 지역을 탈환하면 곧바로 사상자를 밝혀내고 있다”고 했다.
노지원 기자
zo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