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일 덴마크 네스티비드 인근 농장에서 사육 망에 갇혀있는 밍크의 모습. 로이터 연합뉴스
덴마크 농업식품부 장관이 코로나19 변종 바이러스를 이유로 밍크 1700여만마리 살처분 명령을 내렸다가, 거센 비판을 받고 사임했다. ‘밍크 스캔들’은 덴마크 정계를 흔들고 있으며, 야당은 메떼 프레데릭센 총리 퇴진을 요구했다.
모겐스 얀센 농식품부 장관은 18일(현지시각) “총리에게 사임 의사를 밝혔다. (밍크 살처분에 대해) 의회에서 충분한 지지를 받지 못했다”는 글을 트위터에 올렸다. 사육 농가에 사과한다고도 밝혔다.
덴마크 정부는 지난 4일 밍크 사육 농가 일부에서 코로나19 변종 바이러스가 발견됐고 사람에게도 감염된 것으로 추정된다며 덴마크 내 사육 밍크 1700여만마리 전부를 살처분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덴마크는 세계 최대 밍크 사육국으로 덴마크에서 생산되는 밍크 모피는 대부분 중국과 러시아로 수출된다.
덴마크 올버르그에서 지난 14일 트렉터를 탄 농민들이 정부의 모든 밍크 살처분 명령에 대해 항의하는 시위를 벌였던 모습. 로이터 연합뉴스
그러나 감염 농장뿐 아니라 사육 밍크 전부를 살처분한다는 결정은 덴마크 농가의 큰 반발을 불렀다. 또 살처분 명령이 법적 근거가 없다는 지적도 일었다.
그제야 덴마크 정부는 지난주 변종 바이러스에 감염된 밍크와 주변 8㎞ 이내 사육 밍크에 한해서만 살처분 명령이 적법하다고 인정했다. 정부가 현행법으로 불법인 명령을 내린 셈이 됐다. 결국 현재까지 사육 밍크 백만 마리 이상이 살처분됐지만, 모든 사육 밍크를 살처분하라는 명령은 취소됐다.
농식품부 장관 사임 뒤 야당인 자유당은 “총리도 똑같이 (사임)하길 원한다. 총리는 농식품부 장관을 희생양으로 삼아 쫓아내는 대신 자신의 실수에 대한 책임을 지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프레데릭센 총리는 이달 초 밍크 살처분 결정을 했을 때 “모든 밍크를 죽일 필요가 있다”고 발언했다.
덴마크 정부가 모든 밍크 살처분 명령을 내렸던 이유 중 하나는 밍크에서 발견된 변종 코로나19 바이러스는 항체 형성이 잘 되지 않아, 미래 백신 개발에도 장애가 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그러나, 밍크 변종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기존 코로나19 바이러스보다 위험하다는 것이 입증되지 않았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았다.
코로나19 감염 확산 사태 이전부터 인간이 모피를 얻기 위해 밍크를 좁은 철망 안에 가둬 대량 사육하고 죽이는 일은 동물 학대라며 반대하는 여론이 거셌고, 유럽에서 밍크 사육은 줄어드는 추세다. 코로나19로 인한 공중보건상 문제까지 겹치자 네덜란드는 2024년까지 자국 내 밍크 사육을 금지할 계획이다. 덴마크도 내년 말부터 밍크 사육을 금지하는 법안을 추진 중이다.
조기원 기자
gard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