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약품청(EMA)이 다국적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와 영국 옥스퍼드대가 공동개발한 코로나19 백신 접종으로 인해 얻는 이익이 위험성보다 크다고 밝혔다.
유럽의약품청은 18일 안전성 위원회 임시 회의를 열어 아스트라제카 백신과 혈액이 굳는 ‘혈전 현상’ 위험성 증가와 전반적으로 연계성이 없다고 결론을 내렸다고 발표했다.
유럽의약품청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으로 인한 이익이 부작용 위험보다 여전히 크고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특정 제조 현장과 관련된 문제점이 있다는 증거도 없다고 밝혔다. 다만, 유럽의약품청은 “혈소판 감소와 관련한 매우 드문 혈전 현상과 관련되어 있을 수는 있다”고 밝혔다. 유럽의약품청은 유럽연합(EU) 내 의약품 및 백신의 평가, 승인 등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유럽의약품청 에머 쿡 청장은 드문 혈전 현상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사이 “연관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고 <에이피>(AP) 통신은 전했다. 쿡 청장은 “우리의 과학적 입장은 이 백신이 시민들을 코로나19에서 보호하기 위한 안전하고 효과적인 선택지라는 것이다. 이것(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임상시험에서 적어도 60% 면역 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사실, 실제 (접종)에서는 면역 효과가 임상시험보다 더 높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 7일 오스트리아 보건 당국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후 혈액 응고 장애 등으로 의료진 2명이 숨졌다며 이 회사 백신의 접종을 중단했다. 이어 덴마크와 아이슬란드, 불가리아, 노르웨이, 프랑스 등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일부 또는 전체 물량에 대해 접종을 중단한 바 있다. 통신은 유럽의약품청 이번 발표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을 중단한 유럽 국가들이 다시 접종을 재개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고 전했다.
이날 영국 의약품건강관리제품규제청(MHRA)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혈전을 일으켰다는 증거가 없다고 밝혔다. 다만, 영국 의약품건강관리제품규제청도 “혈소판 감소를 동반하는 매우 드물고 특정 유형인 뇌혈전이 5건 보고돼 자세히 추가 조사 중”이라고 덧붙였다.
조기원 기자
gard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