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닛 옐런 미국 재부장관이 18일 독일 본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 회의에 앞서 기자회견에 참석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본/EPA 연합뉴스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이 18일(현지시각) 트럼프 행정부 시절 중국에 부과된 보복관세가 미국 경제에 부담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 경제의 인플레이션 우려가 높아지는 상황에 나온 발언이어서 주목된다.
옐런 장관은 이날 독일 본에서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 회의에 앞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중국의 불공정 무역관행에 대한 보복으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부과한 관세 일부는 (미국의) 소비자와 기업에 더 많은 부담이 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고 <시엔엔>(CNN)이 보도했다. 또 일부 보복 관세는 “우리가 중국과 맞이한 실제적인 문제, 그것이 공급망 불안정이나 국가안보와 관련이 있는지, 아니면 다른 불공정 무역 관행과 관계 있는지 등을 다루는 점에서 매우 전략적이지 못하다”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 시절 미국은 중국과 ‘무역 전쟁’을 벌이는 과정에서 중국의 대미 수출에서 4분의 3에 해당하는 연간 3700억달러의 제품에 최고 25% 관세를 부과했고, 이에 대해 중국도 1100억 달러 규모의 미국제품에 대한 보복관세로 맞불을 놓았다.
엘렌 장관의 발언은 최근 미국 전문가들 사이에 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해 중국에 부과된 보복관세를 철폐하거나 낮춰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가운데 나온 것이어서 주목된다. 미국의 소비자 물가는 지난 3월 8.5%로 4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데 이어 지난달엔 8.3%를 기록하는 등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그는 중국에 부과된 고율의 보복 관세를 되돌릴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면서 그것은 높은 물가상승 때문만이 아니라 “소비자와 기업에 이익이 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관세 인하가 인플레이션 압력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면서도 “게임 체인저”는 아닐 것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정부 내에서 아직 최종 결정이 내려지지 않았다며 “여러 가지 의견이 있고 논의 중에 있다”는 말로 내부에 이견이 있음을 내비쳤다. <로이터> 통신은 미국 정부에서 중국 관세 인화에 반대하는 대표적인 인물로 대중 강경파인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 캐서린 타이를 꼽았다.
한편, 옐렌 장관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 전쟁이 세계 식량안보에 충격을 주고 있다며 “식량과 에너지값 상승이 스태그플레이션 효과를 낳고 있으며, 전세계에서 생산과 소비를 억누르고 물가상승을 부추기고 있다”고 우려했다.
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